
‘깜짝 인사’로 금융당국이 새 진용을 갖추게 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세웠던 금융위원회 해체 등 금융감독체계 개편 가능성이 낮아진 한편 그간 미뤄졌던 주요 금융 공공기관장들의 인사엔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14일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중차대한 시기에 중책을 맡게 돼 어깨가 무겁고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국민 여러분이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지명 소감을 밝혔다.
이 후보자는 금융위원장 취임 후 최우선 과제로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전환 △포용금융의 강화 △자본시장 활성화 △가계부채 관리 △금융 소비자 보호 등을 꼽으며 집중적으로 살펴보겠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한 달간 이 후보자는 예보에 출근하며 인사청문회를 준비하게 된다.
전날 이 후보자와 함께 지명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역시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금감원으로 첫 출근을 했다. 인사청문회가 필요한 금융위원장과 달리 금감원장은 금융위원장 제청 후 대통령의 임명만 있으면 된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취임사에서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고, 최근 국회에서 통과한 상법 개정안의 성공적인 안착을 지원하겠다”며 “부실화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를 조속히 정리하고, 가계부채 총량의 안정적 관리 기조를 확고히 유지하겠다”고 향후 금융감독 방향에 대해 언급했다.
금융당국 수장이 결정되면서 금융권도 빠르게 안정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통령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금융감독체계 개편은 일단 유보되는 분위기다. 해체 위기였던 금융위에 신임 위원장이 지명되고, 금감원장엔 이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 등 가까운 인사가 배치됐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현 체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당초 이 대통령은 금융위의 국내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감독 기능은 금감원과 합쳐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개편안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또 금융위를 해체하고,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를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분리 신설하는 내용도 담겼다.
임기 만료로 수장 공백이 장기화했던 주요 금융 공공기관장 자리는 빠르게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그간 신정부 출범, 금융당국 조직 불확실성 등으로 인사가 미뤄져 왔다. 현재 지난 6월 퇴임한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과 지난달 임기가 만료된 윤희성 한국수출입은행장 등 자리가 비어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아직 불확실성이 남았지만, 감독체계 개편은 당분간 발표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곧 한·미 정상회담이 있고, 금융위원장 인사청문회도 앞둬 일단 큰 이슈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