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의 8·15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에 최신원 전 SK네트웍스 회장과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실장 등 경제인이 대거 포함됐다. 재계에서는 미국발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고자 원팀으로 뛴 재계의 노력에 정부가 화답한 것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11일 정부는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자 83만6687명을 발표하며 경제인 16명을 포함시켰다.
경제인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최신원 SK네트웍스 회장이 사면되며,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실장, 장충기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차장, 박상진 전 삼성전자 대외협력담당 사장, 황성수 전 삼성전자 대외협력담당 전무 등 삼성전자 인사들도 복권된다.
최 전 회장은 횡령·배임 혐의로 징역 2년 6개월을 확정받고 현재까지 13개월 정도 복역했으며, 남은 형기를 면제받고 사면된다. 최 전 회장은 SK그룹 창업자 최종건 회장의 둘째 아들로,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사촌 형이다.
삼성전자 인사인 최 전 실장과 장 전 차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순실(개명 후 최서원)씨에게 삼성 경영권 승계 및 지배구조 개편을 도와달라는 청탁을 하고 뇌물을 제공한 혐의로 2021년 징역 2년 6개월을 확정받았다. 두 사람은 2022년 3월 가석방됐으나 복권은 되지 않은 바 있다.
재계에서는 최근 트럼프 미 대통령이 주도하는 관세 압박으로 어려움을 겪는 우리나라 경제의 정상화를 위해 정부가 힘을 불어넣은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해체됐던 삼성전자 미래전략기획실(미전실) 관련 사법리스크를 해소해줌으로써 향후 삼성전자의 컨트롤타워 부활 가능성도 한 층 높일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