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 효과 주춤…서울·경기 아파트값 6주 만에 반등

  • 부동산원 발표, 8월 첫째 주 서울 평균 0.14% 상승

사진한국부동산원
[사진=한국부동산원]

서울과 경기의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6·27 대출 규제 후 6주 만에 다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이달 첫째 주(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 아파트값은 0.14% 상승해 전주(0.12%)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6·27 대책 발표 직후인 지난 6월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 이후 5주 연속 둔화됐지만 6주 만에 다시 반등한 것이다.
 
서울 동남권의 경우 서초구(0.21%→0.16%)와 송파구(0.41%→0.38%)에서는 상승 둔화세가 유지됐다. 반면 강남구(0.11%→0.15%)는 상승폭을 키웠고 강동구(0.07%→0.14%)에서도 상승률이 전주 대비 2배 확대됐다.
 
강북권에서도 성동구(0.22%→0.33%), 광진구(0.17%→0.24%), 용산구(0.17%→0.22%) 등 한강벨트 일대를 중심으로 상승폭 확대가 나타났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이슈 단지,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가 체결되며 상승 폭을 확대했다”고 말했다.
 
경기도 아파트 가격 역시 0.02% 상승해 전주(0.01%) 대비 소폭 올랐다. 지역별로 성남시 분당구(0.04%→0.15%), 수원시 팔달구(0.03%→0.13%) 등의 경기 남부의 상승률 확대가 눈에 띄었다.
 
인천광역시는 아파트 가격이 0.02% 떨어졌지만, 하락률은 전주(-0.03%) 대비 줄었다. 서울과 수도권 전체 상승률은 0.05%를 기록해 전주(0.04%) 대비 상승했다.
 
반면 지방 아파트값은 0.03% 하락해 전주(-0.02%)보다 하락폭을 더욱 키우며 62주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한편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와 동일한 0.01% 수준에서 상승폭을 이어갔다. 서울(0.06%→0.05%)의 전세 가격 상승폭은 소폭 둔화됐지만 수도권(0.01%→0.02%) 전체 상승폭은 확대됐다.
 
지방은 전주와 동일한 보합(0.00%)을 유지했고, 이 중 5대 광역시(0.01%→0.02%)와 세종(0.02%→0.11%)의 전세 가격은 전주 대비 상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