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한화오션,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계약 체결

  • 2029년까지 건조 완료 후 극지 연구에 투입

  • 북극항로 개척 위한 마중물 기대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가 29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해운협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식에서 신형철 해양수산부 극지연구소 소장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과 함께 기념촬영을 했다 사진한화오션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가 29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해운협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식'에서 신형철 해양수산부 극지연구소 소장,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과 함께 기념촬영을 했다. [사진=한화오션]

한화오션은 29일 해양수산부 극지연구소와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북극항로 개척을 위해 정부와 민간기업이 협력하는 첫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서울 영등포구 한국해운협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계약식에는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이사, 신형철 극지연구소 소장, 최동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기후솔루션연구본부장 등 약 30명이 참석했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쇄빙능력 시험을 포함한 건조 작업을 2029년 12월까지 마무리하고, 이후 우리나라 극지 연구 임무에 투입될 예정이다.

전재수 장관은 축사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으로 건조될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과학 연구와 자원 협력 등 북극 협력 촉진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이번 선박을 시작으로 북극항로의 지속 가능한 이용과 안전한 운항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실측 데이터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희철 대표는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은 단순한 극지 연구를 넘어 국가 중장기 국익과 직결된 중대한 과제"라며 "한화오션은 국가와 인류 번영에 기여하는 뜻깊은 여정에 함께할 수 있어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

한국은 2009년 자체 기술로 쇄빙연구선 아라온호(7,507톤)를 건조해 남·북극해 연구를 독자적으로 수행해 왔다. 그러나 극지 환경 변화와 친환경 규제 강화 등으로 인해 후속 쇄빙연구선 건조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번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총톤수 1만6560톤으로 아라온호의 2배 이상 크기이며,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전기추진 체계를 갖췄다. 1.5m 두께의 얼음을 양방향으로 깨고 나아갈 수 있는 쇄빙 능력과 영하 45도의 내한 성능을 보유했다. 또한 극한 환경에서도 연구가 원활하도록 선실, 응접실, 식당 등 편의 시설을 최고급 여객선 수준으로 설계했다.

한화오션은 이번 사업을 계기로 쇄빙선 분야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김호중 특수선사업부 상무는 "극지 신항로 개척부터 자원 개발에 이르기까지 극지의 잠재력을 선점하는 데 쇄빙선이 핵심 수단"이라며 "미국 등 해외와의 협력을 강화해 쇄빙선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