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세대 쇄빙연구선 조감도[사진=해양수산부]
최근 기후변화로 북극항로의 활용 가능성이 부각되고 북극의 풍부한 지하자원과 수산자원 개발에 대한 국제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북극항로 개척과 극지 자원 확보를 위한 전략적 기반 마련에 속도를 내며, 차세대 쇄빙연구선 도입 등을 추진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9일 극지연구소와 한화오션 간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한화오션은 기술심사에서 최적의 선체 형상, 우수한 내한 성능, 연구자 중심의 연구 공간 등을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계약 체결을 통해 우리나라 북극 진출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수부의 주요 국책 사업인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은 오는 2029년 12월까지 세계적 수준의 쇄빙연구선을 건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3176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며, 총톤수는 1만6560t으로 기존 아라온호(7507t)의 2배가 늘어난다. 쇄빙능력도 기존보다 50%가량 향상된 수준이다. 최대 승선인원은 100명, 무보급 항해일수는 75일 이상이다.
국제선급협회연합(IACS)의 Polar Class3(PC3) 등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탈탄소 시대에 맞춰 친환경 LNG-MGO(저유황유) 이중연료 시스템이 적용된다. Polar Class는 선박의 빙해 운항 성능과 안전기준을 나타내는 등급이며 PC3는 2년생 얼음(다년 해빙) 조건에서 연중 운항이 가능한 수준이다.
이와 함께 '모듈형 연구시설'을 탑재해 기존 고정식 설비 대비 연구 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일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차세대 쇄빙연구선이 투입되면 현재 북위 80도에 제한된 북극 연구 반경이 북극점까지 확대돼 극지 과학연구 역량도 더욱 강화될 전망"이라며 "오는 2030년 여름이면 북극해 전역에서 항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북극항로 개척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기존 아라온호에 집중된 남·북극 연구와 기지 보급 등의 임무 과중 문제도 해소돼 실제 연구 가능한 기간이 현재 40여일에서 3~4배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과학연구, 자원협력 등 북극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인프라"라며 "북극항로의 지속 가능한 이용과 안전한 운항을 위해 필요한 인프라와 실측 기반 데이터를 꾸준히 쌓아가겠다"고 말했다.
해양수산부는 29일 극지연구소와 한화오션 간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한화오션은 기술심사에서 최적의 선체 형상, 우수한 내한 성능, 연구자 중심의 연구 공간 등을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계약 체결을 통해 우리나라 북극 진출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수부의 주요 국책 사업인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은 오는 2029년 12월까지 세계적 수준의 쇄빙연구선을 건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제선급협회연합(IACS)의 Polar Class3(PC3) 등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탈탄소 시대에 맞춰 친환경 LNG-MGO(저유황유) 이중연료 시스템이 적용된다. Polar Class는 선박의 빙해 운항 성능과 안전기준을 나타내는 등급이며 PC3는 2년생 얼음(다년 해빙) 조건에서 연중 운항이 가능한 수준이다.
이와 함께 '모듈형 연구시설'을 탑재해 기존 고정식 설비 대비 연구 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일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차세대 쇄빙연구선이 투입되면 현재 북위 80도에 제한된 북극 연구 반경이 북극점까지 확대돼 극지 과학연구 역량도 더욱 강화될 전망"이라며 "오는 2030년 여름이면 북극해 전역에서 항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북극항로 개척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기존 아라온호에 집중된 남·북극 연구와 기지 보급 등의 임무 과중 문제도 해소돼 실제 연구 가능한 기간이 현재 40여일에서 3~4배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과학연구, 자원협력 등 북극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인프라"라며 "북극항로의 지속 가능한 이용과 안전한 운항을 위해 필요한 인프라와 실측 기반 데이터를 꾸준히 쌓아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