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0조324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5% 증가했다.
분기 순익이 10조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KB·신한·하나금융은 지난해 대비 순이익 증가율이 두 자릿수로 올해 상반기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KB금융의 상반기 순이익은 3조4357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8% 늘면서 지난해 1분기 신한금융에 내줬던 '리딩금융' 지위를 되찾았다. 신한금융의 상반기 순이익은 3조374억원으로 10.6% 늘었고 하나금융은 11.2% 늘어난 2조3010억원을 거뒀다. 다만 우리금융은 1조5513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1.6% 뒷걸음쳤다.
금리인하기에도 가계·기업 대출이 늘면서 4대 금융의 상반기 이자이익은 21조924억원을 기록했다. 은행별로는 신한금융(5조7188억원)과 우리금융(4조5138억원)은 각각 1.4%, 2.7% 늘었다. 신한금융의 은행 이자이익은 지난해 상반기 2조1960억원에서 올 상반기 2조2350억원으로 1.8%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의 은행 이자이익도 각각 4.6%, 4.42% 늘었다. 다만 KB금융의 상반기 이자이익은 유일하게 0.4% 줄었다.
하반기 은행의 주수익원인 이자 사업에 대한 전망은 밝지 않다. 이재명 대통령이 "손쉬운 이자놀이에 매달리지 말고 투자 확대에 신경써달라"고 주문하면서 기업투자 지원, 소상공인 지원 등으로 눈을 돌려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은행권은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대출을 늘려야 하지만 무리하게 늘렸다가는 건전성 지표가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4대 금융지주의 상반기 위험가중자산은 1163조40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5% 늘었다.
특히 경기 침체로 5월 기준 국내은행의 중소법인 대출 연체율이 2017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1%를 넘겨 위기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규제 완화 없이는 금융지주사의 밸류업 정책도 발목잡힐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김대종 세종대 교수는 "미국 골드만삭스의 은행 마진은 전체의 40%만 차지하며 나머지는 주식, 보험 등 다양한 수입원에서 만들어진다"며 "정부도 업종 간 장벽을 없애 은행권이 여러 수익사업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