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기획위, '장애인 직업 재활시설 사회적기업 인증 확대 요구' 제안 접수

  • 조승래 "80% 이상이 인증과 정부 지원서 배제되고 있는 실정, 개선 제시"

조승래 국정기획위원회 대변인이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조승래 국정기획위원회 대변인이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정기획위원회는 25일 '모두의 광장'에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사회적기업 인증을 확대하고 지원을 강화해달라는 제안이 접수됐다고 밝혔다.

조승래 국정기획위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어제 모두의 광장에 접수된 주요 제안으로 사회적기업 인증을 법인 단위로 제한하고 있어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80% 이상이 인증과 정부 지원에서 배제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를 개선해달라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사회적기업 인증 확대 및 지원 강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 대변인은 수배 전단지에 적혀 있는 전문용어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바꾸고 용의자 정보와 신고방법 등을 QR코드로 제공해 달라는 의견과 대통령 직속 국민소통위원회를 설치하고 시상제도를 도입해 국민의 지속적인 정책 참여를 유도하는 제안이 있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조 대변인은 지난 24일 모두의광장에 약 2만7000명이 방문해 5만1000건의 정책과 민원을 제시했다며 누적 방문자 수와 제안된 민원이 각각 100만명과 145만7000건이 넘었다고 알렸다.

한편 조 대변인은 오프라인 국민 소통 플랫폼인 '버스로 찾아가는 모두의 광장'의 충청권 활동 마지막날인 24일 수해로 산사태 피해를 입은 아산을 방문하고 논산에서 확산탄 생산 금지 국제협약 가입 촉구·지방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규정 탄력적 운영 등 총 42건의 제안을 접수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