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23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박찬대 당대표 후보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직에서 스스로 물러나자 8·2 전당대회를 앞둔 민주당에서 미묘한 기류가 흐르기 시작했다. 이른바 '명심(明心·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의 향방을 두고 정청래·박찬대 후보가 다른 대응을 보이면서 두 사람의 전략적 셈법에 대한 해석도 엇갈린다. 판세에서 뒤처진 박 후보가 '반전의 발판'을 마련할지, 정 후보가 강성 당원의 결집력을 재확인할지가 이번 전당대회 변수로 부상한 형국이다.
정 후보는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 이기는 정권 없고 당원 이기는 정당 없다"며 "수많은 공격을 이 대통령과 우리가 함께 이겨냈듯 우리 모두 똘똘 뭉쳐 이겨내자"고 했다. 강 의원의 자진 사퇴와 그를 둘러싼 논란을 외부의 '공격'으로 규정하면서 당원들의 결속을 강조하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모인 대표 팬카페 '재명이네 마을'에는 "강선우를 지키지 못했으니 강한 당대표가 필요하다"와 "박찬대가 '명심'"이라는 의견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같은 날 박 후보가 강 의원이 자진 사퇴를 밝히기 17분 전, 강 의원의 자진 결단을 요구하는 글을 올린 점이 그가 명심이라는 해석까지 이어졌다.
두 후보자의 '명심 적통' 공방은 이날도 이어졌다. 방송인 김어준씨는 유튜브 방송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서 "강 의원을 사퇴시켜야 할 사건은 제가 알아본 바로 없다"며 "언론이 강선우가 아닌 이재명을 이겨 먹을려고 하는 것"이라 주장했다. 반면 노종면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그림자로 살아온 보좌진, 그들도 동지라는 생각이 뜨겁게 꿈틀대지 않았을까 짐작한다"고 박 후보를 지지하는 글을 올렸다.
현재까지 진행된 경선에서는 정 후보가 박 후보를 크게 앞서고 있다. 충청권에서 정 후보가 62.77%, 박 후보가 37.23%를 얻었다. 영남권도 정 후보가 62.55%, 박 후보가 37.45%였다. 민주당은 다음 달 2일 전대 때 호남권과 경기·인천, 서울·강원·제주 경선을 한꺼번에 진행한다.
두 후보 간 신경전이 당내 역학 구도에도 미묘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박지원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정치에 민감한 국민들은 (박 후보가 이 대통령과 소통을 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며 "박 후보 측에서는 그런 인식이 싫지 않을 것이고, 정 후보 측에서는 다소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 후보는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 이기는 정권 없고 당원 이기는 정당 없다"며 "수많은 공격을 이 대통령과 우리가 함께 이겨냈듯 우리 모두 똘똘 뭉쳐 이겨내자"고 했다. 강 의원의 자진 사퇴와 그를 둘러싼 논란을 외부의 '공격'으로 규정하면서 당원들의 결속을 강조하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모인 대표 팬카페 '재명이네 마을'에는 "강선우를 지키지 못했으니 강한 당대표가 필요하다"와 "박찬대가 '명심'"이라는 의견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같은 날 박 후보가 강 의원이 자진 사퇴를 밝히기 17분 전, 강 의원의 자진 결단을 요구하는 글을 올린 점이 그가 명심이라는 해석까지 이어졌다.
두 후보자의 '명심 적통' 공방은 이날도 이어졌다. 방송인 김어준씨는 유튜브 방송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서 "강 의원을 사퇴시켜야 할 사건은 제가 알아본 바로 없다"며 "언론이 강선우가 아닌 이재명을 이겨 먹을려고 하는 것"이라 주장했다. 반면 노종면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그림자로 살아온 보좌진, 그들도 동지라는 생각이 뜨겁게 꿈틀대지 않았을까 짐작한다"고 박 후보를 지지하는 글을 올렸다.
두 후보 간 신경전이 당내 역학 구도에도 미묘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박지원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정치에 민감한 국민들은 (박 후보가 이 대통령과 소통을 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며 "박 후보 측에서는 그런 인식이 싫지 않을 것이고, 정 후보 측에서는 다소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