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관계 부처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지난 2023년 98.3GW(기가와트) 수준인 전력 수요가 2038년 129.3GW로 30% 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기차 확대 등 고전력 수요가 빚어진 영향이 크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480조원을 투입해 조성하고 있는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수요는 2038년 15.4GW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수도권 전체 전력 소비의 4분의 1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전기 먹는 하마'인 데이터센터도 수도권에 쏠리고 있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구체적으로 사업이 진행 중인 데이터센터 36곳 중 수도권에 자리를 잡은 곳은 21곳에 달한다.
이에 지방에서 생산한 전기를 고압 송전망을 통해 끌어오는 구조가 고착됐다. 이 과정에서 송전선로 과부하, 변전소 한계, 예비력 저하 등 복합적 위험 요인이 발생하고 있다.
전력망 압박 상황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수도권 선호 현상은 여전하다. 정부는 비수도권 데이터센터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접근성·기술 인프라 등을 이유로 수도권 집적을 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력 수급 지형이 빠르게 변하는 가운데 수도권 과밀의 전력 리스크를 해소할 뾰족한 해법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강천구 인하대 제조혁신전문대학원 초빙교수는 "데이터센터 등을 비수도권으로 분산하기 위해서는 전력 인프라를 우선 공급해야 하는데 여전히 부족하다"며 "이제는 검토가 아닌 실질적인 행동으로 옮겨야 할 때"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