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내수 부진, 미국발 관세 인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육성자금 규모를 확대한다. 금리인하와 상환유예조치도 병행해 소상공인의 금융부담 완화에 나선다.
시는 이같은 내용의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 하반기 지원을 가동한다고 17일 밝혔다.
지원안에는 중소기업육성자금 확대과 금리인하를 비롯해 △공공배달 서비스 ‘서울배달+땡겨요’ 활성화 △성장형 소상공인 투자 펀드 신설 △서울신용보증재단 조직개편 등 내용이 담겼다.
우선 중소기업육성자금 규모를 기존 2조1000억원에서 2조4200억원으로 3200억원 확대한다.
추가자금은 미국발 관세 조치 대응을 위한 ‘수출기업 경영안정자금’(1000억원), 서울배달+ 땡겨요 입점 가맹점주 대상 저리융자 지원인 ‘서울배달상생자금’(200억원), 생계형 자영업자들에게 마이너스 통장 방식으로 소액‧긴급 자금을 지원하는 ‘안심통장 2호’(2000억원)에 투입된다.
수출기업 경영안정자금, 서울배달상생자금 신청은 18일부터 서울신용보증재단 모바일앱이나 종합지원센터에서 할 수 있다.
아울러 시설자금 금리는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해 고정금리 3.3%에서 2.8%로 0.5%포인트 인하하고 원금상환 유예기간도 6월 말에서 연말로 연장해 금융 부담을 한층 던다.
아울러 소상공인 매출 증대 등을 위해 서울배달+땡겨요 활성화에 나선다. 시와 치킨 프랜차이즈가 협약을 맺고 7월부터 최대 30%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서울배달+가격제’를 순차 도입한다. 향후 피자·햄버거 등 타 업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다음 달부터는 15%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는 ‘땡겨요 배달전용 상품권’도 300억원 규모로 발행한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유망 소상공인에 투자할 50억원 규모의 ‘소상공인 더성장펀드’도 새롭게 조성한다. 음식업, 서비스업 등 생활 밀접 분야의 창의성과 잠재력을 갖춘 소상공인이 대상이다. 자본력과 네트워크가 부족한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 성장 기반을 제공해 자생력을 높이는 게 목표다.
이밖에 시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전 지점을 ‘종합지원센터’로 개편한다. 세무·노무·마케팅·디지털 전환 등 소상공인이 겪는 어려움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해선 시 민생노동국장은 "서울경제 뿌리인 소상공인이 위기를 차질 없이 극복해 지역경제를 살리는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하반기에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