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혁신위원을 맡고 있는 호준석 대변인은 1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혁신위 2차 회의 결과 내용을 발표했다. 혁신위가 제시한 구조 혁신 방향은 △당원 중심 정당 전환 △중앙당 지도체제 강화 △시·도당 현장정치 활성화 등 3가지다.
혁신위는 당대표 중심의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최고위원회의 제도를 폐지하는 한편, 중앙집행기구인 '중앙당무회의'를 신설하기로 했다.
앞서 당 내부에선 전당대회 득표 1위 후보가 당대표를, 차순위 후보가 최고위원에 당선되는 집단지도체제 필요성이 대두된 바 있다. 그러나 지도부 내 불협화음이 빈번히 일어나는 것을 원천차단해야 한다는 게 혁신위의 설명이다.
이어 "최고위원은 폐지된다"며 "최고위 회의를 통해 생중계로 싸우고 이전투구 모습이 비춰진 애매했던 혼합형 지도체제를 끝내고 당대표가 확고한 리더십을 가져야 한다"며 "정책 역량을 쌓고 잘 싸우고 이기는 정당으로 가는 체제를 채택하겠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최고위 대체 기구인 중앙당무회의는 당대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수석대변인, 청년 및 여성위원장, 당대표가 임명권을 갖는 원외당협위원장 2명 등 총 9명으로 구성되며 매주 두 차례 회의를 갖고 당무를 결정한다.
지역별 민심을 청취·반영하는 전국민심회의 신설도 혁신안에 포함됐다. 호 대변인은 "17개 시·도당의 당대표들이 전당원 투표를 통해 앞으로 선출되게 된다"며 "당헌과 당규를 제정하고 개정할 수 있는 상임 전국위원회의 기능을 행사하게 된다"고 했다. 전국민심회의 의장은 당대표가 맡게 되며 전당대회 및 중앙당무위 회의 소집을 요구할 수 있다.
시·도당 강화 방안으로는 각 시도당 대표와 5~10명의 시도당 최고위원을 선출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지방선거 후보 공천권과 예산·인력을 대폭 확대하고, 중앙당의 권한을 일부 이양할 계획이다.
비례대표 후보 공천을 취약 지역 및 연령에 추가 할당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호 대변인은 "취약 지역과 청년 할당을 대폭 확대해 후보자 수를 안배한 다음, 후보자를 해당 지역 당원 투표로 결정하겠다"고 했다.
혁신위는 해당 혁신안을 비상대책위원회 의결을 거쳐 전당원 투표로 확정짓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