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 주민들을 태운 선박은 이날 오전 8시 56분께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갔다. 이후 오전 9시 24분께 예인용으로 추정되는 북측 대형 어선 1척, 경비정 1척과 만났다. 통일부 당국자는 "송환 시점에 북한 경비정이 인계 지점에 나와 있었으며 이후 선박은 자력으로 귀환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북한과 모든 대화 채널이 끊긴 상태에서 지난주와 이번 주 각각 1차례 유엔군사령부와 북한군 간 직통전화인 '핑크폰'을 통해 일시와 지역 등을 통보했다.
이 당국자는 "우리 측 통보에 대해 북한이 최종적인 답을 하진 않았지만, 메시지를 접수한 건 맞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 정부,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유엔사 중립국감독위원회가 각각 개별 면담을 통해 귀환 의사를 확인했다고도 했다.
우리 군은 앞서 지난 3월 7일 서해 NLL을 넘어 표류하던 북한 목선을 발견해 관계 당국에 인계했다. 지난 5월 27일에도 강원 고성 동쪽 100여㎞ 해역 NLL 이남에서 북한 소형 목선 1척을 식별해 해경과 함께 조치했다. 두 차례 구조된 북한 주민 모두 북측으로 송환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해에서 구조된 선박은 기관 고장으로 운항이 불가능했지만 점검 결과 동해 구조 선박은 운항이 가능해 북한 주민들 전원 동의 아래 6명 모두 해당 선박으로 함께 송환됐다고 통일부는 설명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2397호를 고려해 선박용 새 부품을 제공하진 않았으며 기존 부품을 세척해 그대로 살려내는 방식으로 사용했다.
통일부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북한 주민들을 송환한다는 입장 아래 관계기관과 협력해 송환에 노력해 왔다"며 "송환 과정에서 귀환에 대한 북한 주민의 자유의사를 여러 차례 확인하고 관계기관과 협력해 송환 전까지 북한 주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했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