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이앤씨, 샤힌 프로젝트에 대형 모듈 설치

사진DL이앤씨
샤힌프로젝트 현장에 설치된 PAR 모듈. [사진=DL이앤씨]

DL이앤씨는 울산 온산산업단지 내 에쓰오일의 ‘샤힌 프로젝트’ 건설 현장에 PAR(Pre-Assembled Pipe Rack) 모듈을 설치했다고 7일 밝혔다. PAR 모듈은 플랜트의 원료와 생산품 등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배관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번에 설치한 PAR 모듈은 울산 온산산업단지에 석유화학 시설을 짓는 샤힌 프로젝트를 위해 목포 모듈 제작장에서 옮겨졌다. DL이앤씨는 지난 2월부터 10회에 걸쳐 순차적으로 모듈을 운송했다. 길이 47m, 너비 22m, 높이 36m에 이르는 대형 모듈을 포함해 총 17개다. 옮긴 모듈의 무게는 모두 1만톤(t)에 이른다.

모듈은 미세한 차이로도 이상이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제작이 중요하다. 특히 모듈을 제작하는 공간과 이를 설치하는 실제 물리 환경에 차이가 있는 만큼 정확도를 담보하기 어렵다.

DL이앤씨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이저를 발사한 뒤 대상에 부딪혀 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공간 구조를 파악하는 기술인 '3D 스캐닝'을 활용, 샤힌 프로젝트 현장을 목포 모듈 제작장에 3D로 완벽히 구현한 뒤 맞춤형 모듈을 제작했다.

규격에 딱 맞춰 제작된 모듈 사이 간격은 3㎜를 넘지 않아 용접 한 번으로 모듈을 이어 붙이는 SWHU(Single Weld Hook Up) 방식을 활용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용접량을 50%가량 절감했다.

바지선으로 운송하는 과정에선 각 모듈의 체적, 무게 중심에 따라 고박(묶는 작업) 위치를 선정하고, 특수 제작한 받침목과 고정끈으로 포장하는 등 전문적인 해상 운송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용했다.

최종 관문에 해당하는 육상 수송에는 대형 구조물 전용 특수 운송장비인 '모듈 트랜스포터'(SPMT)를 동원했다. 금속판 아래 바퀴 4개가 달린 이 SPMT는 여러 개를 이으면 화물 기차처럼 움직인다. 모듈의 길이를 고려해 한 줄에 6대씩 2줄로 길게 연결했으며 인적이 드문 야간시간에 작업을 진행했다. 

모듈 공법은 기계, 배관 등 설비 구성 요소를 사전에 제작하는 방식이어서 기후나 인력 등 현장 여건에 영향을 적게 받아 최근 플랜트 공사 부문에서 주목받고 있다.

DL이앤씨는 미국 텍사스주 오렌지카운티에서도 세계 최대 규모 폴리에틸렌 공장을 모듈 공법으로 짓고 있다. DL이앤씨가 공사한 에쓰오일 잔사유 고도화 시설(RUC)은 단일 모듈로는 국내 최대 무게(3400t)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유재호 DL이앤씨 플랜트사업본부장은 “석유화학 플랜트 중 샤힌 프로젝트라는 새로운 영역에 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치밀한 사전 준비와 과거의 모듈 제작·운송 노하우, 전문 인력 덕분에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