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직속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지난 27일 경북 상주시 상주문화회관에서 대구취수원 안동댐 이전 사업과 관련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상류) 변경안에 대한 ‘상주시 주민경청회’를 개최했다.
대구취수원 이전을 둘러싼 대구시와 구미시 간의 합의가 파기되고, 2023년 11월 대구시에서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을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환경부는 이번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상류) 변경안을 확정해 2024년 11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한 상황이다.
특히 안동댐 직하류에서 하루 46만 톤의 원수를 취수해 대구시 문산정수장으로 공급하는 사업계획에 대해 상주시 주민들은 하천유지수가 줄어들면서 수질오염 악화와 생활·농업용수 부족 등에 대한 우려로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이번 경청회에는 600여명의 주민들이 참석해 환경부의 사업설명에 대해 “지역 합의를 무시하고 대구시와 안동시만의 합의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있을 수 없고 상주지역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신중한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면서 “대구시의 깨끗한 물 확보를 위한 사업이 상류지역의 주민들에게 피해가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 사업은 낙동강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규모 국가사업인 만큼 신중한 검토와 충분한 합의가 꼭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 사업을 급하게 추진할 것이 아니라 피해가 발생 될 수 있는 해당 지역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사전에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상주시 관계자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와 환경부는 지역의 목소리를 경청해 낙동강을 이용하는 모든 지자체의 주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물관리 방안으로 추진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