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케이블협회)가 '콘텐츠 사용료 공정 배분을 위한 산정기준안'을 내달 초 각 케이블TV방송국(SO) 단위별로 적용한다고 28일 밝혔다. SO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간 논의한 기준안을 처음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SO의 콘텐츠 대가 지급률을 유료방송 평균 수준에 맞추고 지급률 하락에 따른 인하분은 3년 간 점진적으로 반영한다.
SO 대가 산정 기준 가이드라인은 지상파, 종편 등 모든 실시간 PP에 동일하게 적용하되 △종합채널 △중소콘텐츠 △보도채널 △일반콘텐츠 등으로 나눠 비슷한 규모 채널끼리 경쟁하도록 했다.
지급율은 기본채널대가와 재송신료를 합한 금액에서 기본채널수신료매출과 홈쇼핑송출수수료 매출을 나눈 것으로 플랫폼 전체는 27.48%, 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는 39.15%, 개별 SO는 30.46%다.
케이블협회 측은 "특정 채널 협상 영향이 타 채널에 전가할 수 없는 구조로 설계했다"며 "특히 중소 채널군을 분리해 중소 PP를 위한 보호장치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케이블TV 업계는 그동안 시장 변화에 따라 신규 콘텐츠 대가 기준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해왔다. 유료방송 시장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라도 콘텐츠 가치 변화가 기준안 시행에 반영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케이블협회에 따르면 국내 유료방송 가입자가 최초로 감소한 지난 2023년, 구독형 OTT 월간 사용자는 3458만명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에 따른 지상파와 PP사 프로그램 판매 매출도 2019년 대비 2023년 28.7% 늘어났다. 같은 기간 케이블사가 유료방송으로부터 받는 프로그램 제공 매출도 27.5% 증가했다. 콘텐츠사가 유료방송 시장 축소에도 불구하고 콘텐츠 수입을 확대했다는 이야기다.
황희만 케이블TV방송협회장은 "이번 기준안 도입은 구조적 불균형을 바로잡고 콘텐츠 사용료의 합리적 배분과 지속 가능한 상생 구조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첫 단추"라며 "사용료 배분율의 정상화, 방송 매출 증감 반영, 채널군 간 상대평가와 공정경쟁 체계 마련으로 신뢰 기반 시장 환경이 조성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