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는 28일 배추, 무, 양파, 마늘의 품목별 수급동향을 점검하고 여름철 채소류 수급 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현재 배추는 봄 배추 생산과 출하량 증가로 도매가격이 안정세다. 배추 도매 가격은 포기당 1587원으로 전년 대비 27.5%, 평년 대비 33.3% 낮다. 다만 무는 겨울 작형의 생산 감소로 가격이 높은 상황이다. 무 가격은 개당 1875원으로 전년 대비 9.0%, 평년 대비 53.9% 높다.
최근 이상기후와 강원도 고랭지 지역 병해충 발생 등의 여파로 올해 배추와 무 재배면적은 전·평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7월부터 출하되는 여름 배추와 무의 수급 우려도 커지고 있다.
수매비축을 활용한 가용물량 확대도 추진한다. 정부는 여름철 배추·무 공급부족에 대비해 현재 공급량이 충분한 봄 배추·무 2만3000t을 사전 수매비축한다. 해당 물량을 공급이 부족한 시기에 방출하면서 농협을 통해 여름 배추·무 계약재배를 확대해 재배면적 확대를 유도할 계획이다.
이외에 저장량 감소로 가격이 오른 마늘에 대해서는 비축물량을 통해 공급을 늘릴 예정이다. 현재도 정부 비축물량을 깐마늘로 가공해 전국 도매시장에 분산 공급하고 있다. 또 산지 마늘 전문조합 설립을 지원해 가격이 보다 투명하고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물가 상승에 따른 국민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국산 농산물 전 품목에 대해 할인 지원을 실시하고 생육관리협의체 운영을 통해 안정적인 생산을 유도하겠다"며 "국민의 먹거리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주요 농산물의 수급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선제적인 수급 안정 대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