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팀 쿡, 트럼프 중동순방 동행 거절해 미움 샀다"

  • "애플, 백악관의 최대 표적으로 전락"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근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동 순방길 동행을 거부해 트럼프 대통령을 화나게 했다고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26일 보도했다.
 
NYT는 소식통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 13~16일 중동 3개국을 순방하면서 백악관이 여러 미국 기업 CEO들에게 동행을 권유했지만 애플의 쿡 CEO는 이를 거절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행사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칭찬하면서 “팀 쿡은 여기 없지만, 당신은 있다”고 언급했고, 카타르에서 “팀 쿡과 약간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의 미국 투자를 칭찬하면서도 “인도 전역에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고 들었다. 인도에서 사업을 확장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나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인도 등이 아닌 미국에서 제조되기를 바란다고 팀 쿡 애플 CEO에게 오래전부터 말해왔다”며 “그렇지 않다면 애플은 최소 25%의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애플의 주요 공급업체인 폭스콘이 인도에 15억 달러(약 2조원)를 투자해 아이폰 생산 공장을 신설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NYT는 쿡 CEO가 지난 8년간 트럼프 대통령에게 가장 사랑받는 경영자 중 한 명이었으나, 이제 백악관의 최대 표적 중 한 명이 전락했다고 분석했다.
 
누 웩슬러 포코너스 대표는 “쿡 CEO는 트럼프 대통령과 매우 공개적인 관계를 맺은 것이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했다”며 “애플을 특별히 배려할 유인이 크지 않기 때문에 단속 대상으로 삼을 동기가 커졌다”고 지적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으로의 제조업 이전이라는 정책 기조가 강화되면서 해외 생산에 집중하는 애플이 주요 압박 대상이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애플은 올해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3월엔 AI를 탑재한 음성 비서 ‘시리’의 핵심 기능 일부 출시를 연기한다고 발표하며 AI 경쟁력에 우려를 더했다.
 
애플은 지난달 앱스토어 결제 수수료 관련 소송에서 패소했고 쿡 CEO와의 불화로 2019년 회사를 떠난 조니 아이브 디자이너가 최근 오픈AI에 합류해 인공지능(AI) 기기 개발을 본격화하며 애플을 위협하고 있다.
 
쿡 CEO는 2011년부터 약 14년간 애플을 이끈 가운데 해당 기간 중 애플의 기업가치는 2조5000억달러(약 3425조원)가량이나 증가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주가가 20% 이상 하락하며 침체된 분위기다. 지난해 12월 26일 259.02달러까지 올라 시가총액 4조달러에 다가섰던 애플 주가는 약 5개월 만인 지난 23일엔 195.27달러로 고점 대비 25% 하락했다.
 
다만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쿡 CEO가 지난주 백악관에 빈번히 연락을 주고받으며 트럼프 대통령과의 평화협상을 위한 새로운 제안을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고 23일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