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기업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잦은 관세 정책 변경에 따라 올해 수출이 약 5%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는 조사가 나왔다. 수출 둔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 악화가 우려되는 만큼 정부가 비관세 장벽 해소에 총력을 다해달라는 주문이다.
26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150개사 응답) '미국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의 영향 및 대응과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 정책이 지속될 경우 올해 수출액이 지난해에 비해 평균 4.9% 감소한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국내 수출 대기업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각각 6.6%, 6.3%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 감소율은 △전기·전자가 8.3%로 가장 높았고, 이어 △자동차·부품 7.9% △석유화학·석유제품 7.2% △일반기계 6.4% △반도체 3.6% △철강 2.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선박과 의료·바이오헬스는 수출액이 각각 10.0%, 1.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 관세 정책 변동성으로 기업들이 체감하는 어려움은 점점 가중되고 있다. 기업들이 꼽는 어려움으로는 △불확실성 증가(24.9%) △ 관세분쟁에 따른 글로벌 경기악화(24.0%) △미국 수출감소(18.8%) △환율변동 리스크 증가(17.5%) △중국 덤핑수출에 따른 피해(10.5%) 등이다.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기업이 겪고 있거나 겪을 것으로 예상하는 실무애로와 관련해서는 △미국 수입업체와의 단가조정 협상(53.4%) △미국 현지 통관절차 관련 정보(21.3%) △원산지 판정 기준 관련 세부정보 파악(13.3%)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대응방안으로 △수출시장 다변화(26.9%) △글로벌 생산·조달·물류 구조 재조정(19.8%) △환율리스크 관리 강화(16.5%) △동종업계공동대응체계구축(15.1%) △원자재리스크관리강화(12.3%) △투자연기 및 축소(7.6%) 등을 고려했다.
정부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는 △미국과 협상을 통한 관세율 최소화(44.6%)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13.6%) △면세 대상품목 최대화(13.1%) △경쟁국과 동일한 관세율 적용(9.4%) △수출 애로 업종에 대한 금융 및 세제지원(9.4%) 등의 순서로 조사됐다.
미국과 원활한 관세협상을 위해 정부가 사전에 추진해야 할 대책에 대해서는 △미국이 주장하는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45.3%) △금리 인하(23.4%) △조선산업 협력방안 제시(12.5%) △미국제품 수입 확대(8.9%) 등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들이 전망하는 연평균 원달러 환율을 1433.2원 수준이다. 기업들은 환율 리스크 대응을 위해 △수출입 단가 조정(22.3.%) △수출시장 다변화(20.8%) △생산성향상 등 기업경쟁력 강화(19.8%) △원자재 및 부품 수입처 다변화(17.3%) △환헤지 전략 확대(10.1%) 등 다양한 대응을 준비 중이다.
또 수출 대기업 10곳 중 8곳은 미국의 관세정책이 한국과 미국 모두에 부정적 영향(81.3%)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고, 관세분쟁이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84.0%)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미중간의 한시적 관세 인하 합의에도 불구하고 미 무역적자 지속, 신용등급 강등, 후속 관세협상 난항 등으로 관세정책 불확실성은 상존한다"며 "정부는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 양상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비관세장벽을 해소하는 한편, 국내기업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협상전략을 강구해야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