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지방정부 공공외교 '본격화'

  •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포럼 참석…스포츠 ODA로 협력 확대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가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포럼에서 연설을 진행하고 있다전북특별자치도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가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포럼에서 연설을 진행하고 있다.[전북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는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실질적인 협력 기반을 확대하고 지방정부 차원의 공공외교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21일 열린 서울 그랜드하얏트에서 열린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샤픽 하샤디 주한 모로코 대사(주한 아프리카 대사단장)를 비롯해 케냐, 이집트, 세네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아프리카 20여 개국의 주한 대사단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정기홍 외교부 공공외교대사, 김영채 한-아프리카재단 이사장 등 국내 주요 인사들도 함께 자리했으며, ‘다리를 놓고, 기회를 만들다’를 주제로 한국과 아프리카 간 협력 방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전북자치도는 앞서 2023년 아프리카 4개국(알제리·케냐·리비아·모로코) 공관과 함께 경제통상협력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으며, 이번 포럼은 그 연장선에서, 지방정부 차원의 국제교류 저변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관영 지사는 발제를 통해 “전북특별자치도는 K-컬처의 본고장으로 멋과 맛, 문화가 어우러진 곳”라며 “아프리카 체육인 초청, 교류 프로그램 등 전북만의 진정성 있는 외교로 글로벌 연대를 이끌어가겠다”고 말했다.

도는 앞으로도 아프리카와의 실질 협력 확대를 위해 다양한 국제 포럼 및 교류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전북형 공공외교 모델을 정립해나갈 계획이다.
 
돌봄의 공백, 가족으로 채운다…가정위탁으로 양육 기반 확대
사진전북특별자치도
[사진=전북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는 5월 22일 ‘가정위탁의 날’을 맞아, 도민들의 가정위탁 제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실질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채로운 홍보 활동에 나섰다고 밝혔다.

‘가정위탁 제도’는 친가정에서 양육이 어려운 아동을 일정 기간 위탁가정에서 보호·양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아동복지제도로, 1990년 시범사업으로 시작해 2003년 전국 확대 시행됐다. 현재는 전국 18개 가정위탁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위탁가정 발굴과 사후관리 체계가 한층 정교해지고 있다.

유엔아동권리위원회는 2019년 한국 정부에 가정위탁의 질 향상 및 확대를 권고했고, 정부는 이에 따라 제2차 아동정책기본계획(2020~2024년)을 수립해 보호의 공공성 강화에 나선 바 있다. 

도는 이런 흐름에 발맞춰 제도 홍보와 위탁부모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5년 3월 말 기준, 전북 도내에서는 총 511세대 위탁가정이 654명의 아동을 돌보고 있으며, 이들에게는 양육보조금, 자립정착금, 의료 및 심리치료비, 상해보험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정위탁은 성격에 따라 일반위탁, 전문위탁, 일시위탁으로 나뉜다. 

위탁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적정 소득이 있는 가정 △종교의 자유를 존중하고 양육·교육 역량을 갖춘 가정 △25세 이상, 아동과의 나이 차가 60세 이내일 것 △자녀 수(18세 미만) 포함 4명 이하 △가정폭력, 아동학대, 약물중독 등의 전력이 없는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위탁부모 신청은 관할 행정복지센터 또는 전북가정위탁지원센터*에서 상담을 받고, 초기 면담과 가정환경 조사, 적격심사를 거친 후 위탁부모 양성교육(5시간)을 이수하면 자격이 부여된다. 이후 보호가 필요한 아동이 발생하면, 위탁양육이 본격 시작된다.

도는 앞으로 위탁부모 양성교육 확대와 제도 홍보에 더욱 집중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