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과기정통부 따르면 유 장관은 지난 14일부터 17일 미국 워싱턴DC와 샌프란시스코에서 미 연방통신위원회(FCC),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 국립과학재단(NSF), 엔비디아와 면담을 진행했다. 이번 방미는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2026년 연구개발(R&D) 효율화 예산안 발표, 에너지부 민감국가 리스트에 한국 포함, 한국 AI 분야 추가경정예산(추경)안 통과 등에 대한 대응이다.
유 장관은 먼저 지난 14일 브랜던 카 FCC 위원장과 면담을 진행했다. 양측은 통신해킹이 전 세계적 위협이 되고 있어, 국제 공조를 강화해나갈 필요성을 공감했다. 특히 한국의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와 미국의 솔트 타이픈(Salt typhoon) 사고 등 양측의 사고 대응 방향을 공유하고 사고 방지를 위해 노력해나가기로 했다.
6G 개발과 표준활동에 대해서도 공유했다. 미측 해저 통신케이블 보안 강화 방향에 대해 듣고, 한국의 통신사들도 해저케이블 컨소시엄에 참여중인 바, 관련 보안에 대한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이어나가기로 했다.
엔비디아도 방문했다. 유 장관은 엔비디아 주요 임원과 대한민국 AI 인프라 역량 확충을 비롯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아울러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엔비디아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해 연내 원활한 첨단 GPU 확보 등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유 장관은 "이번 방미를 계기로 미국과 차질없는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고 이번에 논의한 내용을 한미 R&D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엔비디아와 GPU 협력 모색에 착수한 바 국내 AI 연구환경이 대폭 개선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