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서울 집값 상승폭 축소...토허제 재지정에 관망세 확산

  • 지난달 서울 집값, 0.52%→0.25%...상승폭 반토막

  • '국회 이전설' 세종시, -0.32%→0.25% 반등

4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사진한국부동산원
4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사진=한국부동산원]

지난달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집값 상승 폭이 절반 가까이 줄면서 전국 집값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 이후 서울 부동산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선 영향으로 풀이된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4월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변동률은 -0.02%로, 전월(0.01%) 대비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했다.

수도권은 0.15%에서 0.07%로, 서울은 0.52%에서 0.25%로 상승폭이 크게 줄었다.

서울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시해제 여파로 2월 0.18%, 3월 0.52%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3월 24일부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강남3구와 용산구까지 확대 지정되면서 4월 들어 상승세가 꺾였다. 지난달 서울 25개 자치구 중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제외된 성동구(0.59%)였다. 

지방(-0.12%→-0.11%)은 하락폭이 축소됐다. 5대광역시(-0.19%→-0.19%)는 하락폭이 유지됐으며 8개도(-0.07%→-0.06%)는 하락폭이 줄었다. 세종시는 대선 영향으로 전달 0.32% 하락에서 0.25% 상승으로 급반등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재건축 호재 단지를 중심으로 수요가 유지되고 있으나, 그 외 단지에서는 거래가 드물고, 지방 역시 부동산경기 침체로 매물 적체 현상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전국 전세가격은 전월(0.03%) 하락에서 보합으로 전환됐다. 수도권(0.10%→0.05%) 및 서울(0.17%→0.09%)은 상승폭 축소, 지방(-0.03%→-0.05%)은 하락폭이 확대됐다.

월세 가격도 오름세가 둔화됐다. 월세가격지수는 전국(0.09%→0.05%), 수도권(0.14%→0.09%), 서울(0.17%→0.10%), 지방(0.05%→0.01%) 모두 상승폭이 축소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