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원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거래량이 늘어난 데 더해 신용대출 증가세가 영향을 미쳤다.
금융당국은 14일 ‘4월 중 가계대출 동향’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4월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폭은 5조3000억원으로 전월(7000억원) 대비 7배 이상 확대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이 4조8000억원 늘며 전체 가계대출을 끌어올렸다. 전월 대비 2금융권은 증가폭이 1조2000억원에서 1조1000억원으로 소폭 줄어든 반면 은행권은 2조5000억원에서 3조7000억원으로 증가폭이 커졌다.
지난 3월 3조원 감소했던 기타대출도 4월엔 5000억원 늘었다. 신용대출이 같은 기간 1조2000억원 감소에서 지난달 1조2000억원으로 증가 전환한 영향이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총 4조8000억원 늘어 전월(1조7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커졌다. 은행 자체 주담대와 정책성대출 모두 증가폭이 전월 대비 확대했다.
2금융권도 가계대출이 5000억원 늘어 전월 9000억원 감소에서 증가세로 바뀌었다. 저축은행(4000억원)과 보험(1000억원), 상호금융(2000억원)은 전월 대비 가계대출이 늘었고, 여신전문금융회사는 1000억원의 감소폭을 나타냈다.
당국은 2~3월 증가한 주택거래 관련 대출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며 4월 주담대 증가세 확대로 이어졌다고 봤다. 연간 가계대출 관리 목표 등을 고려했을 때 현재까지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금리인하 기대감, 5월 가정의 달 자금 수요, 7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영향 등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