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내년 한국 잠재성장률 '2% 하회' 전망…10년 새 1%p 급락

  • 인구 고령화에 따른 경제인구 감소 영향

사진OECD 페이스북
[사진=OECD 페이스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내년 우리나라의 잠재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재성장률)이 2%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12일 OECD는 최근 업데이트한 경제전망에서 내년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1.98%로 전망했다. 올해(2.02%)보다 0.04%포인트 낮춘 것이다.

잠재 GDP는 한 나라의 노동·자본·자원 등 생산요소를 모두 동원하면서도 물가 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 수준이다. 국가 경제를 지탱하는 '기초 체력'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번 OECD 전망은 최근 잇따른 국내 기관의 '1%대 잠재성장률' 분석과 궤를 같이한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지난 3월 발간한 '2025년 경제전망'에서 올해 잠재성장률을 1.9%로 전망했다. 잠재성장률이 하락세인 점을 고려할 때 내년에는 1.9%보다 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KDI가 지난 8일 공개한 2025∼2030년 잠재성장률은 1.5%였다. 총요소 생산성 하락 등이 반영되면서 2022년 당시 전망(2.0%)보다 큰 폭으로 떨어졌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는 주된 요인은 인구 고령화다. 잠재성장률은 노동 투입, 자본 투입, 총요소생산성 등 3개 요소로 추정되는데 이 중 '노동 투입' 항목에서 감점이 크다.

자국 우선주의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분절 등 여파로 자본 투입도 감소세다. 인공지능(AI) 등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에도 총요소생산성은 정체하는 모습이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다른 OECD 회원국과 비교하면 하락세가 특히 가파르다. 2017년부터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3%에서 1.98%로 1.02%포인트 하락했다. 잠재성장률이 공개된 37개국 중 7번째로 하락 폭이 크다.

우리보다 낙폭이 큰 국가들은 튀르키예를 제외하면 체코, 에스토니아 등 경제 규모가 한국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국가들이다. 튀르키예는 잠재성장률이 4%가 넘는 신흥국으로 분류된다. 선진국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이 중소국이나 신흥국 수준으로 가파르게 하락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같은 기간 프랑스(0.92→1.04%), 이탈리아(0.03→1.22%), 스페인(1.03→1.74%) 등은 잠재성장률이 상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