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편집자주>
이번 주에는 국책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경제 전망과 함께 한국 경기를 진단할 핵심 지표들이 잇따라 공개된다. 4월 고용동향 발표도 예정돼 있어 경기 둔화 흐름 속 고용시장 상황에 이목이 쏠린다.
11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오는 14일 '상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우리나라의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및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제시할 예정이다.
앞서 KDI는 2월 수정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0%에서 1.6%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올해 1분기 내수·수출 동반 부진으로 마이너스 성장이 현실화되면서 이번 전망에서도 추가 하향 조정이 유력시된다.
특히 미국의 관세정책 영향을 반영한 성장률 하향폭에 관심이 쏠린다. 최근 해외 투자은행(IB)뿐만 아니라 국내 연구기관들도 잇따라 0%대 성장률을 전망하고 있다.
또 KDI는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도 내놓을 예정이다.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올해 1%대 후반까지 하락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날 통계청은 '4월 고용동향'을 공개한다. 올해 들어 취업자 수 증가 폭은 1~2월 13만 명 선에서 3월 약 20만 명으로 확대됐다.
다만 제조업·건설업 등 일부 업종은 취업자 수가 감소세를 보이며 일자리 위축이 지속되고 있다. 연령별로는 15~29세 청년층의 고용 부진 흐름도 계속되고 있다.
최신 경제 흐름을 짚어볼 수 있는 진단도 공개될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16일, KDI는 12일 각각 경제동향을 발표한다.
기재부는 지난달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고 있다"며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대외 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한 바 있다.
미국의 상호관세 및 품목별 관세 부과로 글로벌 통상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정부와 KDI가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 어떤 판단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또 기재부는 오는 15일 '5월 재정동향'을 발표하고 1분기 나라살림 현황을 공개한다. 올해 2월까지 통합재정수지는 13조7000억원 적자를 기록했고,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17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8조4000억원 감소했다.
이밖에 한국은행은 오는 16일 '4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 집계 결과를 발표한다. 3월에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입물가지수가 전달보다 0.4% 내렸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여파로 4월 원·달러 환율이 1500원 선까지 급등한 만큼, 수입물가가 다시 올랐을지 관심이 쏠린다.
이번 주에는 국책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경제 전망과 함께 한국 경기를 진단할 핵심 지표들이 잇따라 공개된다. 4월 고용동향 발표도 예정돼 있어 경기 둔화 흐름 속 고용시장 상황에 이목이 쏠린다.
11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오는 14일 '상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우리나라의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및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제시할 예정이다.
앞서 KDI는 2월 수정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0%에서 1.6%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올해 1분기 내수·수출 동반 부진으로 마이너스 성장이 현실화되면서 이번 전망에서도 추가 하향 조정이 유력시된다.
또 KDI는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도 내놓을 예정이다.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올해 1%대 후반까지 하락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날 통계청은 '4월 고용동향'을 공개한다. 올해 들어 취업자 수 증가 폭은 1~2월 13만 명 선에서 3월 약 20만 명으로 확대됐다.
다만 제조업·건설업 등 일부 업종은 취업자 수가 감소세를 보이며 일자리 위축이 지속되고 있다. 연령별로는 15~29세 청년층의 고용 부진 흐름도 계속되고 있다.
최신 경제 흐름을 짚어볼 수 있는 진단도 공개될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16일, KDI는 12일 각각 경제동향을 발표한다.
기재부는 지난달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고 있다"며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대외 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한 바 있다.
미국의 상호관세 및 품목별 관세 부과로 글로벌 통상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정부와 KDI가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 어떤 판단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또 기재부는 오는 15일 '5월 재정동향'을 발표하고 1분기 나라살림 현황을 공개한다. 올해 2월까지 통합재정수지는 13조7000억원 적자를 기록했고,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17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8조4000억원 감소했다.
이밖에 한국은행은 오는 16일 '4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 집계 결과를 발표한다. 3월에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입물가지수가 전달보다 0.4% 내렸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여파로 4월 원·달러 환율이 1500원 선까지 급등한 만큼, 수입물가가 다시 올랐을지 관심이 쏠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