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장관 "가자 완전파괴"...인종청소 시사

  • 국제법상 전쟁범죄 혹은 제노사이드에 해당할 수도

이스라엘이 공습한 가자지구 중심부의 부레이 캠프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이스라엘이 공습한 가자지구 중심부의 부레이 캠프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자치구 가자지구에 대한 재점령 의사를 밝힌 가운데, 극우 내각의 발언이 인종청소를 연상케 하며 국제사회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6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지에 따르면 베잘렐 스모트리히 이스라엘 재무장관은 이날 요르단강 서안의 유대인 정착촌에서 열린 콘퍼런스에서 “가자지구는 완전히 파괴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가자 주민 상당수가 제3국으로 떠날 것”이라고 주장하며 사실상 강제이주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이같은 발언은 특정 지역에 대한 무차별적 파괴와 주민의 강제이주 계획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국제법상 전쟁범죄 혹은 제노사이드(집단학살)의 정황에 해당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스라엘은 지난 3월 하마스와의 휴전이 파기된 이후 가자지구에 대한 식량, 의약품, 연료의 반입을 전면 차단하며 봉쇄를 강화해왔다. 이로 인해 가자지구에서는 2개월 넘게 구호물자 전달이 중단되며 인도주의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
 
하마스 정치국 고위 간부인 바셈 나임은 AFP통신에 “가자지구에서 기아 전쟁과 학살 전쟁이 계속되는 한, 회담에 참여하거나 새로운 휴전 제안을 고려하는 것은 무의하다”고 밝혔다. 이어 “굶주림, 갈증, 학살 범죄를 끝내기 위해 국제사회가 네타냐후 정부에 압력을 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제사법재판소(ICJ)는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군사작전에 대한 집단학살 혐의를 평가하고 있다. 앞서 ICJ는 이스라엘에 집단학살 등을 중단하고, 이집트와의 남쪽 국경을 따라 인도적 지원을 방해하지 말라는 임시 조치를 명령한 바 있다.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에피 데프린 이스라엘군 대변인은 가자지구의 민간인들에 대해서는 "하마스나 테러가 없는 남쪽의 인도주의 지역으로 보내질 것"이라며 "그곳에서 상당수가 제3국으로 이주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하마스에 억류 중인 이스라엘 인질 가족 사이에서도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 미국계 인질 에단 알렉산더의 아버지 아디 알렉산더는 "전쟁의 확대가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생존 인질 중 최고령으로 추정되는 옴리 미란(48)의 가족은 "이스라엘이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하마스 해체 의지를 보여주려는 것일 뿐이길 바라지만, 이게 수단인지 목적인지 불분명하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행사에서 "최근까지 24명의 인질이 생존해 있었지만 3명이 사망해 현재 21명“이라고 밝혔다. 다만 정보의 출처나 근거는 공개하지 않았다.
 
독일 DPA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총리실에서 인질 문제를 담당하는 갈 히르쉬는 엑스(X·옛 트위터)에서 “하마스는 59명의 인질을 억류 중이고, 24명이 생존자 명단에 있으며 35명은 사망한 것으로 공식 확인됐다”고 밝혔다.
 
텔레그래프는 이스라엘이 하마스의 무장 해제와 적대행위 종식을 전제로 한 휴전이 없는 한 인질 석방은 불가능해 보인다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