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車 부품까지 고율 관세…"완성차보다 타격 클 것"

  • 최대 90%까지 미국 외 국가서 부품 조달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대해 25% 관세를 전격 발효하면서, 전문가들은 완성차보다 더 큰 산업 충격이 우려된다는 전망을 내고 있다. 

미국 정부는 3일(현지시간)부터 수입 자동차 부품에도 25%의 고율 관세를 적용했다. 

CNN 방송은 "이번 부품 관세가 자동차 산업을 영원히 바꿔놓을 수 있다"며 "완성차 관세보다 더 큰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자동차 시장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의 조너선 스모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부품 관세가 경제 전반에 더 나쁜 영향을 미칠 것 같다"고 전했다.

특히 글로벌 완성차 업체 대부분이 미국 내 생산 차량에도 외국산 부품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번 조치가 산업 전반에 미칠 파장이 크다는 분석이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BMW는 미국 공장에서 생산하는 차량의 73%, 독일 메르세데스-벤츠는 90%가량을 미국 외 국가에서 부품을 조달한다. △도요타(47%) △닛산(59%) △현대차(60%) 등도 비슷한 수준이다. 미국 기업인 GM과 포드도 외국산 부품 의존도가 60%에 달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로 인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미국에서 최종 조립돼 판매되는 차량은 향후 2년간 외국산 부품 관세를 15% 경감해준다"고 밝혔지만 실제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GM의 메리 바라 CEO는 "관세로 인한 연간 비용이 5조~7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가격 부담은 저가 차량 중심으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 콕스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미국 내 3만 달러(약 4200만원) 미만 차량 중 80%가 관세 적용 대상이다. 혼다 시빅, 도요타 코롤라, 쉐보레 트랙스 등 미국 소비자에게 인기 있는 모델 다수가 포함된다. 신차 가격 인상뿐 아니라 중고차·수리비·보험료 등 2차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했다.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에 따른 관세 면제 조항도 실효성이 제한적이다. 멕시코 부품업체는 고임금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대부분 관세 적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멕시코는 미국에 약 116조원 규모의 부품을 수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