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일본과의 2차 관세 협상에서 방위비 분담 관련 조건은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자동차, 철강·알루미늄 등 품목 관세 인하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보도가 나왔다.
1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이날 국 워싱턴DC에서 열린 2차 관세 협상 이후 기자들과 만나 "양국이 비관세 장벽과 양자 무역 및 경제 안보 협력 확대 등에 대해 심층적인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환율과 안보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면서 “안보는 관세나 무역과 다르다. 함께 논의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안보가) 관세 협상 대상이 될 일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또 “(양국이) 2일부터 실무급 협의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차기 장관급 협상은 “5월 중순에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닛케이는 이날 오후 미국 측이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 관세 인하와 관련해서는 난색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이에 일본은 강하게 반발해 장관급 형상에서 일련의 관세 조치를 포괄적으로 재검토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닛케이는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해제하려면 (미국의) 수입 제한이 필요하지 않게 됐다는 것을 (미국이) 다시 인정해야 한다”며 상호관세보다 품목 관세를 바꾸는 일이 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 측은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 관세 재검토가 협상 테이블에 오르지 않으면 (대일) 무역적자 삭감에 협력하기 어렵다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동차는 일본의 대미 수출 중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핵심 품목이다.
이날 회의는 약 2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미국 측에선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했다.
한미 관세 협상 가늠자로 여겨지는 양국 간 협상에서 미국은 농산물·자동차 교역의 불공정함을 주장하고 있고, 일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 조치 제외를 요구해 왔다.
한편 가토 가쓰노부 일본 재무상은 지난주 일본이 보유한 막대한 미국 국채가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중 하나라고 언급한 바 있다. 다만 블룸버그는 일본이 이를 "얼마나 진지하게 고려 중인지는 불분명하다"고 짚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