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美 최대 소화기학회서 '짐펜트라' 임상 결과 공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효정 기자
입력 2024-05-20 09:1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셀트리온은 '2024년 미국소화기학회(DDW)'에서 세계 유일의 인플릭시맙 피하주사(SC) 제형 '짐펜트라'의 임상 결과를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셀트리온 부스에서 '짐펜트라를 통한 장기적 치료 목적 달성 - 내시경적 치료 및 점막치유' 세미나를 통해 IBD 치료의 최신 트렌드에 기반한 짐펜트라 데이터 분석 결과도 소개할 계획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최근 미국 대형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처방집에 선호의약품으로 등재되는 등 성과를 확대하는 가운데, 학회에 참석한 미국 IBD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제품 경쟁력을 알려 짐펜트라 처방세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마케팅 활동을 더욱 공격적으로 전개해 실질적인 매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글자크기 설정
미국소화기학회에 마련된 셀트리온 부스 사진셀트리온
이달 18일부터 21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진행되는 '2024년 미국소화기학회(DDW)' 내 셀트리온 부스. [사진=셀트리온]
 
셀트리온은 ‘2024년 미국소화기학회(DDW)’에서 세계 유일의 인플릭시맙 피하주사(SC) 제형 ‘짐펜트라’의 임상 결과를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달 18일부터 21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진행되는 DDW는 소화기학, 간장학, 내시경 및 소화기계 수술 분야 등에서 영향력을 지닌 글로벌 전문가들이 모이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학술대회다. 올해는 각국 의료 전문가 1만3000여명이 참석해 염증성 장질환(IBD) 분야와 관련한 최신 의료 트렌드를 공유했다.

셀트리온은 지난 3월 짐펜트라를 출시한 이후 미국에서 열린 IBD 학회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먼저 회사는 크론병(CD) 환자 180명, 궤양성 대장염(UC) 환자 23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짐펜트라 글로벌 임상 3상의 102주(2개년) 장기 추적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54주(1년) 간 짐펜트라로 유지 치료를 진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102주차까지 치료를 연장해 장기 유효성 및 안전성을 관찰했다. 임상 결과, 102주 시점에 54주와 유사한 수준의 유효성 결과가 나왔으며, 안전성 측면에서도 새로운 우려사항이 발견되지 않았다.

셀트리온은 데이터 공개뿐만 아니라 DDW에 참석한 미국 IBD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짐펜트라를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셀트리온 부스에서 ‘짐펜트라를 통한 장기적 치료 목적 달성 - 내시경적 치료 및 점막치유’ 세미나를 통해 IBD 치료의 최신 트렌드에 기반한 짐펜트라 데이터 분석 결과도 소개할 계획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최근 미국 대형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처방집에 선호의약품으로 등재되는 등 성과를 확대하는 가운데, 학회에 참석한 미국 IBD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제품 경쟁력을 알려 짐펜트라 처방세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마케팅 활동을 더욱 공격적으로 전개해 실질적인 매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