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AI' 사업 나선다던 상장사 55%… "신사업 추진 없음"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이차전지, 인공지능(AI) 사업에 나서겠다고 밝힌 상장사 다수가 해당 사업을 전혀 추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상장사 최대주주는 신사업 추진 발표 후 주가 차익 실현에 나서는 등 부정거래 정황도 포착됐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차전지 등 7개 주요 신사업을 추가한 233개사를 조사한 결과 관련 사업을 추진하지 않은 회사가 129개(5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부분 회사들은 증시에서 이슈가 된 주요 7개 테마업종(메타버스, 가상화폐·NFT, 이차전지, 인공지능, 로봇, 신재생에너지, 코로나)을 신사업으로 추가했다. 이차전지와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목적을 추가한 회사가 각각 125개, 92개로 가장 많았다.

추가사업에 대한 조직·인력 구성, 연구·제품 개발, 매출 발생 등 추진 현황이 모두 있는 회사는 83개(36%)였으며 일부 사업이라도 매출 실적이 있는 회사는 47개(20%)에 불과했다.

추진 현황이 전혀 없는 기업들이 추진 현황이 있는 회사와 비교했을 때 다년간 영업손실, 최대주주 변경 등 재무·경영 안정성이 낮아 단기 시세차익을 노린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회사 최대주주가 변경되는 전후 과정에서 사업목적을 추가한 사례도 빈번했다. 공시 지연·누락 등으로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기업도 있었다. 횡령·감사의견거절 등으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하는 등 내부통제 문제점도 불거졌다.

신사업 발표 직후 주가가 급등하면 최대주주 관련자가 CB전환주식을 매도하고 사업 추진을 철회하는 등 허위 신사업을 이용한 부정거래 혐의 기업도 일부 발견됐다.
 
금감원은 “상당수 회사가 신사업 발표 이후에도 진행 실적이 없는 점을 감안하고 사업 진행 공시 내용을 참고해 투자를 판단해야 한다”며 “허위 신사업 추진 관련 불공정거래 혐의가 포착된 종목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를 실시하고 혐의 적발 시 엄중 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