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연봉이 낮아야 칭찬받는 '자본주의 딜레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홍승우 기자
입력 2023-03-14 15:3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연합뉴스]

증권사 직원들의 억대 연봉이 도마에 올랐다. 한 정치인이 ‘이익의 사유화, 손실의 사회화’라는 프레임을 내세우며 증권맨들은 졸지에 어려울 때는 정부지원을 받고, 이익으로는 성과급잔치를 하는 이기적인 사회구성원으로 낙인찍히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2021년 기준 주요 증권사 급여 현황(성과급 포함)에 따르면 △메리츠증권 1억9366만원 △삼성증권 1억6800만원 △NH투자증권 1억5420만원 △하나증권 1억4779만원 △KB증권 1억4679만원 △미래에셋증권 1억4424만원 △한국투자증권 1억4149만원 △신한투자증권 1억3091만원 △대신증권 1억1526만원 △키움증권 1억1246만원 등으로 모두 평균 연봉 1억원이 넘었다.
 
이와 비교대상이 된 건 은행권이었다. 5대 시중은행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국민은행이 1억1074만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증권사 중 평균 연봉이 가장 낮은 키움증권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해당 평균연봉 집계 기간은 부동산 PF 부실사태가 발생하기 전이고, 2021년에는 주식시장 호황으로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 등 여러 증권사가 ‘1조클럽’에 진입했던 시기다. 반대로 은행권은 영업실적이 비교적 좋지 못한 시기이기도 하다.
 
논란이 된 건 증권사들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에도 성과급 잔치를 벌일 수 있다는 우려다.
 
이런 우려가 기우라고 생각되는 건 증권사도 추진하는 사업과 부서 특성에 맞게 구축된 성과급 체계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영업실적이 눈에 띄게 악화되면서 나름대로 허리띠를 졸라맨 증권사도 더러 있다.
 
물론 회사가 목표했던 성과를 내지 못했거나 특정인의 주머니를 채워주기 위해 성과급을 과도하게 책정하는 건 미연에 방지해야 하고, 쓴소리해야 하는 게 맞다. 하지만 회사와 각 조직원들의 성과여부를 따지기도 전 누군가의 눈높이보다 많은 연봉을 받았다고 질타를 들을 이유는 없다. 적어도 자본주의라는 테두리 안에서는 말이다.
 
억대 연봉자에 대한 왜곡된 해석의 시발점이 된 부동산 PF 위기. 그 책임이 온전히 증권사에 있다는 건 부당하다는 생각이 든다. 당시 부동산 PF 관련 취재를 했을 때도 현업 종사자들은 정부와 금융당국이 정한 부동산 정책 가이드라인에 맞춰 진행한 사업이라고 토로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부동산 PF 지원은 부동산 정책의 잘못에 대한 반성보다는 마치 능력이 부족한 증권사를 감싸주는 고결한 포용으로 비춰진다.
 
국민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하는 건 누군가 일해서 받는 억대 연봉이 아니다. 편법을 통한 사취와 포퓰리즘에 강요당하는 희생이라고 생각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1개의 댓글
0 / 300
  • 기자님.. 매일 물가가 오르고 국민들이 얼마나 살기가 팍팍하고 힘든데... 억대 연봉을 받는 분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이따위 기자를 쓰십니까.. '기자'라는 직업으로 좀 더 사명감을 갖고 하나의 기사라도 대다수의 국민들의 입장에서 써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