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로 쓴 가장 오래된 편지 '나신걸 한글편지' 보물로 지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성민 기자
입력 2023-03-09 12: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문화재청, 창녕 관룡사 불상·서울 청룡사 괘불도 등 총 3건 지정

나신걸 한글편지 [사진=문화재청] 

1490년에 쓴 것으로 추정되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한글편지이자 훈민정음 반포의 실상을 알려주는 훈민정음 반포의 실상을 알려주는 ‘나신걸 한글편지’가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은 9일 “조선시대 군관으로 활동한 나신걸(1461∼1524)이 아내에게 한글로 써서 보낸 편지 2장인 ‘나신걸 한글편지’ 등 3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고 발표했다.
 
나신걸의 편지는 2011년 대전시 유성구 금고동에 있던 조선시대 신창맹씨 묘 안 피장자의 머리맡에서 여러 번 접힌 상태로 발견됐다.
 
편지의 제작시기는 내용 중 1470~1498년 동안 쓰인 함경도의 옛 지명인 ‘영안도(永安道)’라는 말이 보이는 점과 나신걸이 함경도에서 군관 생활을 한 시기가 1490년대라는 점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편지는 아래, 위, 좌우에 걸쳐 빼곡히 채워 썼으며, 주된 내용은 어머니와 자녀들에 대한 그리움, 철릭(조선시대 무관이 입던 공식의복) 등 필요한 의복을 보내주고, 농사일을 잘 챙기며 소소한 가정사를 살펴봐 달라는 부탁이다.
 
이 편지가 1490년대에 쓰였음을 감안하면, 1446년 훈민정음이 반포된 지 불과 45년이 지난 시점에서 한양에서 멀리 떨어진 변방지역과 하급관리에게까지 한글이 널리 보급되었던 실상을 알 수 있다.
 
특히 조선시대에 한글이 여성 중심의 글이었다고 인식되었던 것과 달리, 하급 무관 나신걸이 유려하고 막힘없이 쓴 것을 보면, 조선 초기부터 남성들 역시 한글을 익숙하게 사용했음을 보여 준다.
 
기존에는 조선시대 관청에서 간행된 문헌만으로는 한글이 대중에게 어느 정도까지 보급되었는지 파악하기 어려웠다면, ‘나신걸 한글편지’가 발견됨으로써 한글이 조선 백성들의 실생활 속에서 널리 쓰인 사실을 확인한 계기가 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문화재청은 “해당 유물은 현재까지 발견된 한글편지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자료이자 상대방에 대한 호칭, 높임말 사용 등 15세기 언어생활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라며 “앞으로 조선 초기 백성들의 삶과 가정 경영의 실태, 농경문화, 여성들의 생활, 문관 복식, 국어사 연구를 하는 데 있어 활발하게 활용될 가치가 충분하며, 무엇보다도 훈민정음 반포의 실상을 알려주는 언어학적 사료로서 학술적·역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사왕상 일괄 모습 [사진=문화재청]

이번에 함께 보물로 지정된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불교 조각을 전문으로 하는 승려 9명이 1652년에 완성해 관룡사 명부전에 봉안한 불상이다.
 
총 17구의 불상은 당시 작업한 조각승 중 최고로 여겨졌던 응혜 스님이 완숙한 조각 솜씨를 펼치던 전성기에 만든 것으로, 사찰 구조 및 불교 조각을 연구할 때 중요한 자료다.
 
18∼19세기 양식을 볼 수 있는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는 1806년 순조(재위 1800∼1834)와 순원왕후의 장수를 기원하며 상궁 최씨가 발원한 불화다.
 
19세기 초 서울·경기 지역에서 등장한 새로운 괘불 양식이 반영된 첫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사진=문화재청]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