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양수 한은 경제연구원장과 김도완 한은 거시경제연구실 과장은 5일 한은 홈페이지 블로그에 '우리나라 취업자 수 추세의 향방은'이란 제목으로 된 글을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박 원장은 인구구성 변화,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포함) 변화 등을 고려하는 방식으로 향후 5년간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가 규모를 추정한 결과 향후 5년간(2023~2027년)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가 폭은 7만~12만명 수준으로 시산됐다.
앞서 국내 취업자 수는 2020년 22만명(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2021년에는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 등으로 92만명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해 중반부터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에 올해 1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41만1000명 증가를 기록했는데 이는 2021년 3월(31만4000명) 이후 22개월 만에 최소 증가 폭이다.
생산활동가능인구인 15세 이상 인구수가 중요한데 우리나라는 저출산 심화로 15세 이상 인구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 더욱이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은퇴 연령에 도달하면서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8년 이후 감소로 전환됐다.
박 원장은 "이번 분석에 대해 전년 동기 대비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조만간 10만명 수준으로 떨어진다 해도 일자리가 창출되지 않은 것보다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 공급 증가 추세 둔화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문제는 잠재성장률 하락이다. 잠재성장률은 노동 공급과 자본, 총수요생산성에 의해 결정된다. 앞서 시산한 취업자 수 추세 전망치를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에 적용하면 2023~2027년 중 잠재성장률은 2010년대 후반보다도 낮아진다.
한은은 향후 5년간 잠재성장률을 0.2%포인트 정도 높이기 위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대, 외국 인력 활용도 확대 등 고용 촉진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원장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외국 인력 활용 확대 등 고용촉진책을 통해 취업자 수를 베이스라인 규모보다 연평균 8만∼10만명 더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