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김진욱 대변인이 22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검찰의 과도한 압수수색으로 도정 업무가 방해받고 있다며 압수수색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강대웅 기자]
경기도 김진욱 대변인은 22일 도청에서 갖은 기자 회견을 통해 “이번 압수색은 사실상 도정을 멈춰 세운 것으로 유감”이라면서 ”오늘 압수수색에서 김동연 지사의 PC까지 압수수색 대상으로 포함했다며, 도지사실 압수수색은 상식 밖의 일“이라고 비난했다.
특히 ”작년 7월 취임한 김동연 지사의 PC가 ’20년 1월 퇴직한 이화영 전 평화부지사 무슨 상관이 있는 것이냐며, 이 전 평화부지사의 재직기간과 상관없는 곳까지 무차별적으로 압수수색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과도한 수사”라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이번 압수수색이 도지사실은 물론, 3개 부지사실, 기획조정실, 평화협력국뿐 아니라, 농업기술원, 경기도의회까지 광범위하게 포함되었다”며 "검찰이 수사 중인 협의와 무관한 대상까지 광범위한 압수수색을 실시해 도정에 막대한 차질을 빚고 있다“고 성토했다.
김 대변인은 ”검찰의 과도한 압수수색으로 도정 업무가 방해받고 이로 인해 경기도민의 피해가 발생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며 ”경기도정을 위해 헌신하는 공무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려서는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경기도청은 어려운 민생을 챙기고 도정 발전을 위해 일하는 곳으로 도는 오직 민생 만을 위해 일하고 싶다“고 검찰의 압수수색 자체를 꼬집었다.
한편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대북송금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이날 오전 경기도청 남·북부청사에 수사관을 보내 이 전 부지사가 근무했던 경제부지사실(옛 평화부지사)을 비롯한 경기도지사실과 비서실, 평화협력국, 도의회 사무처 등 7∼8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