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다양성 과제] 노욕에 빠진 중진 vs 젊은 꼰대 된 신진…MZ 목소리 누가 대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정훈 기자
입력 2023-01-25 05:1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전체 의원 25%가 3선 이상인데 20대 '0'

  • 중진들, 청년 공약 남발…당선 후 모르쇠

  • 신진들은 지엽적인 '이미지 정치' 지적도

용산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활동기간 연장안이 지난 6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됐다.[사진=연합뉴스]


평균 연령 54.9세, 역대 두 번째 최고령 국회. 바로 21대 국회이다. 현 21대 국회는 20대 국회 평균 연령(55.5세) 보다 낮아졌지만 역사상 두 번째로 나이가 많은 국회다. 50대 177명, 60대 69명으로 전체 의원 중 82%에 이른다. 반면 40대는 38명, 30대는 11명, 20대는 2명에 그쳤다.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21대 총선부터 만 18세에게도 선거권이 부여되는 등 유권자는 더욱 젊어졌는데 이들을 대변하는 국회의원들은 더욱 늙어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정치권에서 세대 대결이 이뤄지고 있다. 젊은 신진 정치인들은 “정치 개혁을 위해선 세대교체를 이뤄야 한다”고 외치고 있다. 이에 중진 정치인들은 “경험과 연륜이 아직 필요하다”고 힘주어 말한다.

전문가들은 양측이 조화를 이뤄야 정치가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세대 간 극렬한 대립은 사회적인 갈등만 불러일으키는 만큼 철저한 자기반성을 바탕으로 타협의 정치를 해야만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현실은 여전히 극의 정치다. 지난해 3월 대통령선거에 이어 6월 지방선거를 치르면서 정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높아졌으나 정치권은 기성 정치인과 신진 정치인 간에 여전히 대립하고 있다. 서로를 타협이 아닌 정리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정치 실종의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국회는 3선 이상 중진 의원들이 젊은 세대들을 위해 '노욕'을 버려야 한다는 의견과 기존 정치의 틀을 깨겠다고 나섰지만 새로운 제도의 수용에 소극적인 이른바 '젊은 꼰대'들 사이에서 우왕좌왕하는 모습이다.

◆중진, 청년세대 문화에 대한 몰이해···청년 정치인 육성에 몰두해야

중진 정치인들은 선거 때만 되면 젊은 유권자층을 겨냥한다. 유세 현장에서 춤도 추고 노래도 부른다. 청년들을 위한 공약도 남발한다. 딱 여기까지다. 당선만 되면 다시 원점이다. 기득권 확보에 열을 올린다. 젊은 유권자들이나 신진 정치인들이 기성 정치인들을 경멸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21대 국회에서 기성 정치인들은 청년층을 'MZ세대(밀레니얼+Z세대·1980~2004년생)'로 호명하며 자기들 입맛에 맞게 해석하는 데만 열을 올렸다. 이는 청년세대 문화에 대한 몰이해로 이어지기도 했다. 단적인 예로 청년들의 새로운 여가문화로 △'빠지'(주로 강가에서 즐기는 수상 레저) △'파티룸 대여' 등이 떠오르지만 국회 차원에서 안전대책 등에 대한 진지한 논의는 이뤄진 적이 없다. 이태원 참사 역시 재난안전관리법 개정안 등 사후약방문 격으로 뒷북 입법이 쏟아졌다.

'청년 감수성'을 높이기 위한 해법으로는 청년 정치 확대가 거론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21대 국회 시작 당시 2명이었던 20대 청년 정치인들 역시 30대가 되면서 지금은 20대 의원이 자취를 감췄다. 국회 국정조사특위도 20대 청년 없이 구성됐다. 국정조사 보고서 속 7가지 재발방지대책에 청년들 관심사를 반영한 국회 차원의 선제적 입법 대책이 담기지 않은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반면 21대 국회의원 중 3선 이상은 74명(약 25%)이었다. 여전히 국회의원 4명 중 1명은 중진인 셈이다. 중진들은 이제 청년 정치인들을 육성하고 그들에게 길을 터주는 역할을 자임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정치권, '젊은 꼰대 정치' 경계···기성 정치인 '관록'도 필요

정치권 일각에선 '젊은 정치인'들이 민생 챙기는 데는 정작 소홀히 하고 지엽적인 이미지 정치에만 신경을 곤두세우는 정치행태, 즉 '젊은 꼰대 정치'를 꼬집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정치권은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공정한 사회 시스템이라는 본질적 접근보다 여성가족부 폐지, 사병 월급 200만원 지급과 같은 포퓰리즘 정책으로 소위 '이대남'과 '이대녀' 간 갈등을 이용하는 득표 전략에만 의존한다고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핵심은 청년 정치를 육성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기성 정치권의 양보만으로 이뤄지는 것도 아니고 청년 정치의 패기만으로 이뤄지는 것도 아니다. 두 세력 모두 노력이 필요하다. 단지 사람으로 뭉치는 것이 아니라 가치와 가치가 뭉치는 정당이 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청년 정치 역시 기성 정치에 무조건 배려와 양보를 하라고 강요해서도 안 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산전수전 공중전을 모두 거친 중진의원들의 '관록'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중진들은 의원 생활만 16년 이상 한 정치인들이다. 온갖 풍상을 다 겪었고 정치권에 협상 테이블을 차릴 줄 아는 균형감각이 몸에 뱄다. 무엇을 지향하고, 무엇을 위해 뛰는지 기성 정치권이나 청년 정치 모두 고민할 필요가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