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헬스케어포럼]허경화 KIMCo 대표 "글로벌신약 개발 위한투자·협력 선도 필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유연 기자
입력 2022-05-24 19: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허경화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 대표가 '제약바이오산업 동향과 우리의 과제'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가기 위한 필수 조건은 '글로벌 제약 기업의 개발'이다. 앞으로 자본, 기술, 산업계와 정부의 협업이 뒷받침된다면 우리나라도 충분히 글로벌 제약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다." 

허경화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하 KIMCo) 대표는 2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아주경제 주최로 열린 '제12회 글로벌 헬스케어포럼'에서 '제약바이오산업 동향과 우리의 과제'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허 대표는 글로벌 제약시장 현황에 비해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은 외부와 협업하는 데 뒤처져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2년(2019~2021년) 동안 글로벌 제약·바이오 성장률은 평균 6.1%를 유지하고 있고 있으며 향후에도 6%대를 유지할 것으로 관측된다. 따라서 2026년에는 글로벌 의약품 시장 규모가 1350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 FDA 신약 현황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FDA 신약 허가 품목은 지난해 50건으로 2016년부터 2020년 평균 허가 품목 수인 45.6건을 넘어섰다.

허 대표는 "글로벌 시장의 개발 동향 상황을 살펴보면 혁신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외부 협력을 가속화하고 있다"면서 "라이선스 계약은 질환별·기술별로 집중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특히 질환 분야는 Oncology(56%) & CNS(22%), 기술 분야는 mAb(30%), Cell & Gene therapy(31%)가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구조 역시 민간·공공 분야에서 투자가 늘어나며 선진화의 변곡점에 있는 상황이다. 국내 제약산업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23조원에 달한다. 의약품 수출 규모와 기술수출 규모는 각각 9.9조원, 13조4000억원에 이른다. 같은 기간 국내 제약기업의 매출 대비 연구개발 비중은 14%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한국은 글로벌 대형 제약사의 외부 파트너십을 통한 개발 비중은 다소 낮은 상황이다. 실제 국내 라이선싱 인·아웃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 중소벤처사와 대·중견기업 간 라이선싱은 20% 수준에 불과하다. 

허 대표는 "국내에 머물고 있던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글로벌화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몇 년이 (국내 제약산업의) 10년을 좌우할 수 있는 만큼 집합적인 역량을 만들어내고 글로벌 역량을 키워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허 대표는 글로벌 신약 개발의 핵심 성공 요소로 자본, 기술, 협업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허 대표는 "우리나라도 글로벌 신약 개발을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지만 부족한 규모"라며 "K메가 펀드 확보 등 국내 자본시장에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기술적인 부분은 이미 국내 기업의 의약품 파이프라인을 비롯해 연구개발 비용과 임상1·2·3상 비율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라이선싱 인·아웃 비율은 2020년부터 줄고 있는 추세"라며 "무엇보다 산업계 자원과 역량을 집결한 '협업 플랫폼' 확보가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