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신뢰도 하락?…"안좋은 시기에 금리인상" 매파 변신 우려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은숙 국제경제팀 팀장
입력 2021-12-09 11:2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코로나19 변이 오미크론 리스크가 줄어들었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사흘 연속 상승했다. 이제 시장이 이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결정에 눈을 돌리고 있다. 시장에서는 다음 주 이틀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자산매입규모축소(테이퍼링) 속도를 2배로 높이고 2022년에 더 공격적인 금리인상이 이뤄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비칠 것으로 예상한다. 확실한 매파 변신 신호를 준다는 것이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그러나 연준의 이같은 정책 변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한편에서는 커지고 있다. 나티시스의 조셉 라보르그나 미국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몇 달 동안 인플레이션을 '일시적'이라고 평가했던 연준이 이제는 인플레이션 기간을 과대평가하고 잘못된 시기에 긴축을 하는 실수를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만약 현재의 인플레이션 추세가 누그러진다면 연준은 다시 정책 방향을 바꿔야 하기 때문이다. 라보르그나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의 신뢰성에 대한 논란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CNBC는 "파월 의장이 이끄는 연준은 급격한 방향 전환으로 유명해졌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면 연준은 지난 2018년에도 금리를 올리는 이른바 '정상화'를 시도하다가 글로벌 경제가 약세를 보이면서, 정책의 방향을 수정해야 했다.

이후 2019년에도 연준은 금리인하는 충분히 했으며, 당분간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러나 2020년 팬데믹과 함께 급격한 금리인하가 단행됐고, 엄청난 양의 자산매입이 이뤄지면서 연준은 결국 대차대조표 규모를 4조 달러까지 늘이게 됐다. 

연준은 2020년 연말에는 다시 개입해 일자리에 초점을 맞추고 높은 인플레이션을 기꺼이 용인하는 패러다임 전환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제 1년이 지난 지금 인플레이션에 강력 대응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물론 시장 상황에 따라 연준이 정책 방향을 수정할 수는 있다. 그러나 미국 중앙은행이 스스로의 방향과 전망을 자주 수정하고 급격히 노선을 변경하는 것은 신뢰도를 훼손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라보르그나 이코노미스트는 "연준과 시장이 서로 다른 말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의 상황은 2018년 12월과 섬뜩하게도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연준의 테이퍼링과 금리인상 기대에도 불구하고 국채 금리는 유난히 안정적이다. 채권 시장은 11월 중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5년과 10년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하향 조정했다. 

그러나 이같은 연준의 방향 변화가 시장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분석도 있다. 시장은 2022년에 두 번, 어쩌면 세 번 정도 연준이 각각 0.25% 포인트 기준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11월 오미크론으로 인해 시장은 휘청거렸지만, 연준의 매파 변신이 시장 하락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무디스 애널리틱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크 잔디는 "연준은 정확히 해야 할 일을 하고 있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코로나19에 신속히 대처했으며, 인플레이션 가속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준 내에서 비둘기파로 불리는 이들 역시 인플레이션에 제동을 걸어야할 시기라고 판단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시기에 제대로 대처를 하지 못해 인플레이션이 고착화한다면, 이 역시 엄청난 후폭풍을 몰고 올 수 있다. 잔디 이코노미스트는 파월 의장이 이끄는 연준은 매우 투명하게 금융 상황을 지원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