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0월 1년 만기 LPR가 전달과 같은 3.85%로 집계됐다고 공고했다. 5년 만기 LPR도 4.65%로 변동이 없다. 지난해 4월 이후 18개월 연속 동결이다.
인민은행은 기준금리 대신 LPR 금리로 대출금리를 조절하고 있어, LPR가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중국은 2015년 10월 이후 기준금리를 조정하지 않고 있다.
이번에도 LPR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시장엔 우세했다. 앞서 지난 15일 인민은행이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동결시켰기 때문이다. MLF금리는 LPR와도 연동된다. LPR는 1년물 MLF에 은행 조달 비용, 위험 프리미엄 등을 가산해 산출하는 금리이기 때문에, MLF 금리를 내리면 LPR도 인하 수순을 밟는다.
다만 최근 부진한 3분기 성적표를 받아든 중국 정부가 연내 LPR와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 카드를 꺼내 들 것이라는 전망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중국 3분기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4.9%에 그쳤다.
국무원 참사실의 야오징위안(姚景源) 특별 연구원은 지난 18일 기자회견에서 "인민은행이 유동성을 확대해 둔화한 경제 성장을 부추긴다는 차원에서 4분기에 지준율을 1% 포인트 내릴 여지가 있다"면서 지준율 인하가 인플레이션을 밀어 올린다고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전했다.
중국 경기회복 둔화세가 뚜렷한 점도 추가 지준율 인하 전망에 힘을 보태고 있다.
중국은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중국 내 생산자물가 불안과 함께 경기회복세 둔화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달 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은 10.7%로 1996년 10월 집계 시작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이어 공개된 9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3.1%에 그치면서 시장 전망치인 4.4%는 물론 전달치인 5.3%에도 못 미쳤다.
물론 경기침체에 물가 폭등이 겹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추가 부양책 카드를 꺼내기도 여의치 않다. 돈줄을 풀면 이미 들썩이는 물가 오름세에 부채질을 할 수 있어서다. 이에 중국 당국은 금리 조절에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