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공포] 미국부터 유로존까지 인플레 쇼크…공급망 균열 가속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은숙 배인선 기자
입력 2021-10-04 15:3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세계 경제가 에너지발 인플레 공포를 맞닥뜨렸다.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연쇄적으로 이어지는 에너지 가격의 급등은 물가상승을 자극하고 있다. 에너지 부족으로 공급망까지 타격을 입으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은 더욱 거세지는 모양새다. 코로나19 이후 이어진 중앙은행들의 유동성 공급으로 올랐던 물가는 최근 에너지 가격 상승과 중국 수출물가 오름세로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물가상승이 단기적일 것이라고 주장했던 미국 정부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전망이 빗나가면서 시장의 긴장은 높아지고 있다. 물가는 오르지만, 경기는 회복되지 않는 스태그플레이션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 금융시장의 변동폭도 커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미국과 유로존 선진국 물가상승 압력 커져··· 연말 다가오며 긴장고조 

중국발 전력난과 영국과 유럽 지역의 천연가스 가격 급등은 최근 시장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유로존의 9월 인플레이션은 1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유럽연합(EU) 통계당국인 유로스타트는 지난 1일(이하 현지시간) "지난달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3.4%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08년 9월 3.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유로존 최대 경제국인 독일의 소비자물가 역시 30년 만에 최고 수준인 4.1%를 기록했다고 CNBC는 보도했다. 

인플레이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역시 에너지다. 유럽발 천연가스 가격 급등이 전 세계 에너지 시장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여기에 중국발 에너지 부족 사태까지 이어져 사태는 악화하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유럽 천연가스 가격이 500% 가까이 폭등했다. 최근 바람이 충분히 불지 않아 풍력 발전의 출력량이 감소하면서, 천연가스의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유럽 내 천연가스 재고는 역대 최저수준으로 곤두박질 치고 있다. 

수요에 비해 공급 부족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유가 전망을 속속 높이고 있다. 지난달 26일 골드만삭스는 원유 수요의 꾸준한 증가를 예측하면서 올해 브렌트유 가격 전망치를 배럴당 80달러에서 90달러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도 올겨울 한파가 몰아칠 경우 원유 수요를 자극하면서 내년 초 국제유가를 100달러까지 끌어올릴 수도 있다고 보았다. 이는 기존의 전망보다 반년 정도나 앞당긴 것이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70달러를 넘어서면서 미국은 산유국들에 가격 안정을 위한 추가 증산을 요구해왔다. 그러나 산유국들은 추가 증산에는 미온적이다. 

◆중국이 수출하는 인플레 전 세계 위협 

중국의 전력난은 올 초부터 추진된 정부의 강력한 탄소배출 감축 드라이브의 영향 탓이다. 공산당 정부의 탄소배출 감축 정책이 원자재 공급 부족을 불러오면서 전 세계 물가를 함께 높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대부분의 성에는 전력공급 제한령이 내려졌다. 에너지 소모가 많은 오염산업, 즉 철강·시멘트·알루미늄 제련·석탄 등 업종에 제한령이 집중돼 이들 산업 내 공급량이 줄었다.

결국 중국 내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등 원자재 가격은 물론 부원료 가격까지 올랐다. 원자재 가격의 상승은 최종 완성품을 만드는 제조업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인플레를 부채질하고 있다. 

결국 지난해까지만 해도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올해 들어 고속질주하고 있다. 세계 공급망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중국의 수출 물가 상승은 인플레 압력을 전 세계적으로 퍼뜨리고 있다. 중국이 물건이 아닌 인플레를 수출하고 있다는 푸념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바이러스로 타격을 받았던 공급망이 에너지 부족으로 멈춰서게 되면서, 글로벌 시장의 공급에 균열은 점차 커지고 있다. 지난 3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오클라호마에 본사를 둔 단열 생수병 제조사 심플모던의 마이크 베컴 최고경영자(CEO)와의 인터뷰를 통해 중국 공장의 가동률이 크게 낮아졌다고 전했다. 상하이 미국상공회의소(AMCHAM)는 최근 전기 배급조치 때문에 중국에서 활동하는 미국 기업들이 주문 취소와 원자재 낭비, 사업 기회 상실 등 엄청난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에너지 대란은 1970년대 '오일 쇼크'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 사태를 다시 불러올 수 있다는는 지적까지 나온다. 에너지 위기가 부각하면 인플레이션이 연말을 넘어 내년까지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인플레 공포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 등으로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했던 글로벌 경기 회복 속도를 둔화하게 만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물가상승이 예상 외로 길어질 경우, 미국 연준 등 중앙은행들은 팬데믹 완화 정책에서 발을 빼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아직 고용시장에서 코로나19의 여파가 완전히 가신 것도 아니다. 소비 여력은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물가 고공행진을 거듭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