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이끄는 사회] 준비는 2년·귀농 5년 후엔 3600만원 수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경태 기자
입력 2021-02-25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귀농귀촌 어려움,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 충돌이 상당해

산청군 '귀농인의 집' [연합뉴스]


무한 경쟁 속에 지친 현대인들, 나이가 들어 현직에서 물러나는 고령자들은 대도시를 떠날 준비를 한다. 최근에는 귀농·귀촌의 삶을 보여주는 방송을 보며 제2·제3의 인생을 농촌에서 보내려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다만, 모두가 농촌에서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귀농·귀촌을 하기 전에 충분한 학습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귀농 5년차 가구소득 3660만원 수준 달해

25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20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10가구 가운데 7~8가구는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 생활을 한 뒤에 연고지로 귀농을 하는 70대 이상은 71.8%에 달했다. 또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 없는 곳으로 이주한 계층은 40대(18.3%)에서 가장 높았다. 

귀촌 가구의 33.8%는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했다.

귀농·귀촌을 하는 이유를 들어보면, 귀농은 자연환경 30.5%,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23.0%), 가업승계(13.1%) 순으로 파악됐다. 귀촌은 농산업 외 직장취업(24.1%), 정서적 여유(15.3%), 자연환경(13.7%), 저렴한 집값(9.6%) 순이다. 

귀농·귀촌 전·후 가구원 상태를 보면, 귀농가구의 이주 전 평균 가구원수는 2.7명이고 이주 후에는 2.0명이다. 귀농 전 2인 이상 가구 중 귀농 당시 혼자 이주한 가구는 26.5%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가구원과 합가한 가구는 이 중 17.9%다.

귀촌 가구의 이주 전 평균 가구원 수는 2.5명이나 이주 후에는 2.2명으로 줄어든다. 귀촌 전 2인 이상 가구 가운데 귀촌 당시 혼자 이주한 가구는 14.1%, 추후 가구원과 합가한 가구는 이 가운데 11.7% 수준이다.

귀농 준비에는 평균적으로 25.8개월이 소요됐다. 귀촌은 17.7개월이다. 귀농 준비기간 동안 정착지역 탐색 42.2%, 주거·농지 탐색 29.3%, 귀농 교육 12.2%, 자금조달 11.5%, 귀농체험 1.7% 등을 수행한다.

귀농가구의 47.7%, 귀촌가구의 16.0%가 온-오프라인, 선도농가 인턴십 등 교육을 이수한다.

귀농 1년차 가구 소득은 2782만원이며, 귀농 이후 5년차(3660만원)까지 귀농 전 평균 가구소득(4184만원)의 87.5% 수준으로 회복한다. 

귀촌 1년차 가구소득은 3436만원이며, 귀촌 이후 5년차(3624만원)까지 귀촌 전 평균 가구소득(3932만원)의 92.2% 수준으로 회복한다.

귀농·귀촌 후 생활을 보면, 거주 주택의 종류는 농가주택을 포함한 단독주택(귀농 90.6%, 귀촌 49.7%), 아파트·연립주택(귀농 7.0%, 귀촌 48.0%) 순이다.

점유형태는 자가(귀농 77.1%, 귀촌 62.4%), 전·월세(귀농 19.6%, 귀촌 35.9%), 지원정책 활용(마을 내 빈집, 귀농인의 집 등 임시거주 : 귀농 3.3%, 귀촌 1.7%) 순이다.

지역 융화 정도를 볼 때,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다(귀농 74.6%, 귀촌 51.4%)는 응답 비중이 높은 편이다.

귀농·귀촌 10가구 중 6가구(귀농 62.1%, 귀촌 63.3%)가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다. 3가구(33.1%, 35.4%)는 보통, 불만족은 각각 4.6%, 1.3%다.
 
귀농·귀촌 그래도 실패한다...치열한 준비 요구돼

그렇다고 귀농·귀촌이 100% 성공을 담보해주지는 않는다. 귀촌·귀농인들이 느끼는 주요 갈등요인을 살펴보면,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 이해 충돌, 집이나 토지 문제 등으로 꼽힌다.

이같은 주요 갈등요인을 귀농과 귀촌으로 구분해보면, 선입견과 텃세(51.2%, 10.1%),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충돌(17.2, 6.4), 집/토지 문제(12.5%, 3.1%), 영농방식의 차이(7.0%, 변화없음), 마을 일이나 모임 참여(2.4%, 1.7%) 등이다. 

실패요인까지 살펴서 신중한 귀농·귀촌을 해야 한다는 게 농업 전문가들의 조언이기도 하다.

농식품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에는 지역 밀착형 체험‧정보 제공 강화, 농업 일자리 연계 교육 확대 등 귀농‧귀촌 희망자의 사전 준비와 적응력 강화 방안을 마련,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 은퇴와 코로나19로 인한 저밀도사회에 대한 도시민의 관심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고객층의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또, 농식품부는 올해 안에 제1차(2017~2021년)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을 마무리한다. 제2차(2022~2026년)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도 수립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제2차 종합계획은 우리 농촌이 인구 증가세 둔화와 고령화 심화 등 지역소멸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는 만큼 범정부 협력 거버넌스 및 귀촌 지원 강화를 중심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