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人⑪] 포스트코로나 시대, 로켓펀치가 꿈꾸는 ‘워크 플랫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신보훈 기자
입력 2020-08-25 16: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조민희 로켓펀치 대표 인터뷰

  • 주택가 위치한 개인 사무공간 ‘집무실’ 오픈

  • 코로나19 재확산...재택근무 대응하는 미래 업무 공간 제안

  • 스타트업 채용→비즈니스 소셜네트워크→공유 오피스 발전 중

지금 이 순간, 수많은 스타트업이 세상에 등장했다 사라지고 있습니다. 제2의 배달의민족을 꿈꾸며 열정을 불태우는 젊은 창업가부터, 시장에서 인정받지 못한 채 조용히 퇴장하는 기업까지. 법인이 탄생하고 소멸하는 시간은 그들 ‘인생’의 전부지만, 대부분 시간은 관심조차 받지 못한 채 조용히 흘러갑니다. ‘스타트人’에서는 숫자가 아닌 속살을 들여다보려 합니다. 소리소문없이 창업 최전선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스타트업 사람들, 그들의 이야기를 시작합니다.[편집자 주]


코로나19 확진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사무실로 출근하던 직원들은 다시 재택근무에 들어갔다. ‘아직 재택근무는 시기상조’라는 평가를 곱씹기도 전에 업무공간은 바뀌고 있다. 끈질긴 전염병의 생존력은 이 변화를 가속화한다.

국내 최대 스타트업 채용 플랫폼 ‘로켓펀치’는 공간 기획 전문기업 엔스파이어와 손잡고 집 근처 사무실 ‘집무실(執務室)’을 최근 오픈했다. 일하는 공간의 변화를 고민하던 차에 코로나19 사태가 터졌고, 새로운 시도에 최적 타이밍이라는 판단이 섰다. 엔스파이어와의 합병을 결정하고, 오프라인 사업에 진출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집 근처 사무실, '집무실'
 

서울 중구에 오픈한 1호 집무실. 중앙 공유 라운지에서는 커피를 즐길 수 있다. [사진=신보훈 기자]

집무실에서 제공하는 개인 업무 공간. 앞이 트인 개방형 공간(왼쪽)과 파티션으로 폐쇄성을 강조한 공간이 있다. [사진=신보훈 기자]


집무실은 도심의 중심업무지구에 위치하는 기존 공유 오피스와 달리 주택가 곳곳에 자리 잡는다. 기업 단위, 팀 단위로 공간을 빌려 사용하던 방식을 세분화해 개인 중심의 업무 공간을 배정하고, 직원들이 집 근처에서 일하도록 서비스하는 개념이다.

이 공간은 개별 책상 단위로 개인이 24시간 이용할 수 있다. 개방형 공간인 ‘네스트’부터 칸막이로 구분돼 있는 ‘하이브’, ‘케이브’를 통해 독립적인 업무 공간을 사용한다. 공유 라운지에는 음료와 과자가 준비돼 있고, 미팅을 위한 회의실도 마련돼 있다.

조민희 로켓펀치 대표는 “코로나19 이후 직원들이 모두 같은 장소에 모이지 않고, 흩어져서 일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로켓펀치는 2015년부터 전 직원이 사무실 없이 원격으로 일해왔는데, 그동안의 노하우를 도입해 새로운 업무 공간을 만들었다”며 “공유오피스는 중심업무지구 수요를 커버하고 팀 단위 공간을 만들지만, 우리는 집 근처에서 출발해 개인을 위한 공간을 만든다. 스터디카페나 카페에서 일하던 직원들이 집무실에서 일하게 도와주고, 이를 활용할 기업 파트너를 모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3시간 만에 합병 결단, 10일 만에 집무실 완성

로켓펀치는 집무실 프로젝트를 위해 엔스파이어와 합병했다. 조민희 로켓펀치 대표와 김성민 엔스파이어 대표가 초등학교와 중학교 동창이라는 인연도 중요했지만, 결정적으로 두 회사의 방향성이 맞았다. 로켓펀치는 온라인 중심에서 오프라인으로 사업 확장을 준비하고 있었고, 엔스파이어는 2018년부터 ‘집무실(레드하우스)’ 프로젝트를 가다듬고 있었다. 두 업체는 서로의 방향성을 공유한 뒤, 3시간 만에 합병을 결정했다.

조 대표는 “엔스파이어는 공간 기획 분야에서 실력을 인정받고 있었고, 로켓펀치는 집과 사무실 사이의 공간을 고민해 왔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직원들이 필요한 업무 공간을 이야기하다가 서로의 시너지를 확인했고, 다른 형태가 아닌 합병을 결정했다”며 “집무실 공간은 R&D 측면에서 접근한다. 공간을 구획하지 않고, 오픈된 상태로 워크 모듈을 사용한 덕분에 지점 당 10일이면 출점이 가능하다. 워크 모듈은 분해할 수 있어 10% 내외의 공실 관리 기능도 있다. 몇 달씩 걸리는 전통적 개발방식으로는 수요에 대응하지 못한다. 빨리 출점하고, 공간은 유연하게 사용한다는 점이 집무실의 또 다른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조민희 로켓펀치 대표 [사진=로켓펀치]


로켓펀치는 2013년 스타트업 채용 사이트에서 시작했다. 2015년부터는 비즈니스 소셜네트워크를 지향하면서 기업이 아닌 개인 스토리를 중심으로 한 정보 제공에 주력했다. 예를 들어, 개인이 프로필과 경력, 그동안 수행했던 프로젝트 등을 올리면 해당 직군의 사람들이 정보를 확인하면서 교류하는 형태다. 기업이 채용정보를 입력하면 지원자가 확인하는 기존 형태에서 발전된 개념이다. 이 작은 차이는 연간 30만~40만명을 기록하던 창업 초기 트래픽을 현재 360만~370만명까지 끌어올렸다.

조 대표는 기업 중심 채용 정보 플랫폼을 “공채시대 메타포”라고 규정한다. 이제 혁신 기업은 수시 채용 방식을 도입하고, 온‧오프라인 네트워크를 공유하면서 관계를 맺고 채용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그는 “과거 채용 정보와 상위 10% 인물에 대한 정보는 몇 만명이 볼 수 있지만, 로켓펀치는 10명이 보는 프로필을 1000개씩 만들자는 방향성을 갖고 있다. 비즈니스 소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사람을 모으고, 공유하는데 주력하고 있다”며 “집무실은 온라인에서 교유하던 공간을 오프라인으로 확장한 개념이다. 사람들이 하루 중 가장 오랜 시간 머무는 사무공간을 제공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조화롭게 관리하는 것이 향후 로켓펀치의 성장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