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LTE 이어 5G 속도도 SK텔레콤 '압도적' 1위(종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노경조·차현아 기자
입력 2020-08-05 13: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007년 품질평가 후 SK텔레콤 거의 매년 1위

  • 인빌딩 등 다중이용시설 속도 및 가용률 우수

  • KT, 5G 커버리지·LG유플러스 접속시간 '우위'

홍진배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이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0년도 상반기 5G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발표 후 질응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노경조 기자]


이동통신 3사 중 SK텔레콤의 5G 업·다운로드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LG유플러스와는 1.5배가량 속도 차이가 났다. 5G 커버리지(서비스 면적)는 KT가 서울에서, LG유플러스가 6대 광역시에서 우위를 점했다. 이렇듯 고객이 이통사를 선택할 때 참고할 만한 지표들이 5일 발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2020년도 상반기 5G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 국내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656.56Mbps로, 지난해 LTE 속도(158.53Mbps)보다 4배 이상 빨라졌다고 밝혔다.

이통사별로 SK텔레콤의 5G 다운로드 속도가 788.97Mbps로 가장 빨랐다. 이어 KT 652.10Mbps, LG유플러스 528.60Mbps 순이었다.

주요 다중이용시설 및 교통 인프라에서 이통3사는 다운로드 653.97Mbps, 업로드 62.98Mbps의 속도를 자랑했다. 이통사별 다운로드 속도는 SK텔레콤 795.17Mbps, KT 663.94Mbps, LG유플러스 502.79Mbps였다.

특히 SK텔레콤은 백화점, 대형병원 등 인빌딩은 물론이고, 놀이공원, 지하철 객차, 고속도로 등 모든 조사 스팟에서 다운로드 속도가 이통3사 중 제일 빨랐다.

5G 업로드 속도도 SK텔레콤 75.58Mbps, KT 63.69Mbps, LG유플러스 53.23Mbps 순이었다. 정부가 2007년부터 진행해 온 통신서비스 품질평가에서 SK텔레콤은 거의 매년 1위를 기록해왔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지난해 역대 최대 설비 투자를 집행한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투자를 최대한 앞당기는 등 5G 인프라 강화를 위해 지속해서 노력해왔다"며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지난해 말부터 5G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고객 체감 품질 향상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5G 서비스 이용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은 이통3사 평균 다운로드 시 6.19%, 업로드 시 6.19%였다. 이는 5G 서비스 지속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수치가 낮을수록 좋다. 이통사별로는 다운로드 기준 LG유플러스 9.14%, SK텔레콤 4.87%, KT 4.55%로 조사돼 KT의 5G 지속성이 가장 양호했다.

주요 다중이용시설과 교통 인프라에서도 LG유플러스의 LTE 전환율이 11.71%로 가장 높았다. SK텔레콤과 KT는 각각 5.52%, KT 5.48% 수준이었다. 영화관(0.96%), 놀이공원(1.10%) 등에서 5G 이용이 상대적으로 원활했다. 지하철(19.49%), 고속도로(16.28%) 등에서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고객의 실질적인 5G 체감 품질 향상을 위해 상용화 초기부터 커버리지 확보에 주력했다"며 "이러한 노력을 통해 품질 핵심 지표인 5G→LTE 전환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최초 통신망 연결까지의 접속시간은 다운로드 102.24ms, 업로드 93.81ms였다. 지연시간은 30.01ms로 지난해 LTE(36.34ms)보다 짧아졌다. 데이터 손실률도 0.57%로 LTE(0.85%)와 비교해 줄었다.

이통3사 중 LG유플러스는 다운로드 기준 접속시간이 75.31ms로 가장 짧았고, 데이터 손실률도 0.32%로 낮았다. 지연시간은 SK텔레콤(28.79ms)이 적게 소요됐다.

커버리지 구축은 서울의 경우 KT 433.96㎢, SK텔레콤 425.85㎢, LG유플러스 416.78㎢로 이통3사 간 격차가 크지 않았다. 임야를 제외하고 5G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셈이다. 다만 6대 광역시 커버리지는 LG유플러스 993.87㎢, KT 912.66㎢, SK텔레콤 888.47㎢로 도심 및 주요지역으로 제한됐다.

가용률을 따져보면, SK텔레콤은 1606개 다중이용시설에서 5G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평균 가용률은 79.14%였다. 반면, KT는 938개 시설에서 가용률 64.56%, LG유플러스는 1282개 시설에서 가용률 60.08%에 그쳤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타사 대비 20㎒ 적은 주파수량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일부 지역에서는 타사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 수준의 속도를 제공하고 있다"며 "향후 과기정통부와 긴밀히 협의해 인접 20㎒ 주파수를 추가로 확보, 타사보다 우위의 5G 서비스 품질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품질평가는 지난해 4월 5G 상용화 이후 서울·6대 광역시를 대상으로 처음 실시됐다. 옥외(행정동), 다중이용시설, 교통 인프라로 구분해 커버리지 점검 표본 169개, 품질평가 표본 117개 등 총 286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점검 및 평가가 이뤄졌다.

정부는 이번 평가 결과가 이통3사의 5G 투자 확대를 촉진해 디지털 뉴딜의 핵심인 '데이터 고속도로'를 빠르게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이통3사가 5G에 적극적으로 투자해 커버리지와 품질이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지만, 5G가 데이터 고속도로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투자를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며 "국민이 5G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이통3사는 하반기에도 5G 망 투자를 지속헤서 확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