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년 전 프랑스 대통령이 고종에게 보낸 도자기에 담긴 이야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성민 기자
입력 2020-07-28 15: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新신왕실도자, 조선왕실에서 사용한 서양식 도자기’ 특별전

28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살라미나 병을 보고 있는 정재숙 문화재청장 [사진=문화재청 제공]


“이야기 보따리라는 말이 있다. 이번 전시를 보시면 ‘이야기 항아리가 있구나’라고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정재숙 문화재청장의 말대로 도자기들은 다양한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흘러가는 역사의 물결에 따라 도자기도 조금씩 바꿔갔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오는 29일부터 10월 4일까지 개항 전후 조선왕실의 도자기 변화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특별전 ‘新신왕실도자, 조선왕실에서 사용한 서양식 도자기’를 연다.

이번 전시에서는 조선과 프랑스 수교(1886)를 기념해 프랑스 사디 카르노 대통령이 고종에게 보낸 ‘살라미나 병’과 필리뷔트(Pillivuyt) 양식기 한 벌, ‘백자 색회 고사인물무늬 화병’ 등 그동안 한 번도 공개된 적 없는 근대 서양식 도자기 40여 점이 처음으로 전시된다. 프랑스·영국·독일·일본·중국에서 만들어진 서양식 도자기 등 약 310건 400점의 소장 유물이 한자리에서 선보인다.

세브르 도자제작소에서 만든 ‘백자 채색 살라미나(Salamine) 병’이 가장 눈길을 사로잡는다.

개항 이후 조선은 수교를 맺은 서양 국가로부터 기념 선물을 받은 전례가 없었다. 예술적 자부심이 높은 프랑스는 자국을 대표하는 명품으로 세브르産(산) 도자기를 선택해서 보냈다. 고종은 답례로 12~13세기 고려청자 두 점과 ‘반화(盤花)’ 한 쌍을 선물했다.

국립세브르도자제작소의 1888년 8월 출고 기록을 보면 클로디옹 병(Vase Clodion) 두 점과 함께 살라미나병 한 점이 한국의 왕에게 보내졌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백자 채색 살라미나 병’ 내부에는 녹색 마크 ‘S.78’와 붉은 마크 ‘DECORE A SEVRES’, ‘RF’, ‘78’이 남아 있다. S는 세브르(Sèvres)를, 78은 1878년에 제작되었음을 의미하며, RF는 ‘République Française’, 즉 프랑스 공화국의 약자다.

바로 옆에서는 고종이 답례로 보낸 12~13세기 고려청자 두 점과 ‘반화(盤花)’ 한 쌍이 영상을 통해 관람객들을 만난다.

김현정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관은 “고려청자 두 점과 ‘반화’ 한 쌍을 이번에 전시하기로 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막판에 성사되지 못했다”고 안타까움을 전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으로 남아 있지 않아 분실 된 것으로 알려졌던 ‘백자 채색 클라디옹 병’ 한 쌍의 소재를 파악하게 된 것도 이번 전시의 큰 성과다.

고종의 아들인 영친왕의 저택이자 일본 도쿄 아카사카 프린스호텔 구관은 1930년에 완공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석조전 가구 일부와 ‘백자 채색 클로디옹 병’이 이때 일본으로 넘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영친왕 저택은 1955년 일본 세이부 그룹 창업자 쓰쓰미 야스지로에게 매각됐다. 세이부 그룹 계열사인 프린스호텔로 활용되다 2016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 프렌치 레스토랑 및 결혼식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백자 채색 클로디옹 병’은 당대 영친왕 저택의 구조와 인테리어를 그대로 살린 이 레스토랑에 남아 있다.

곽희원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는 “‘백자 채색 클로디옹 병’을 이번에 전시하고 싶었지만 코로나19와 한일 양국 간의 관계로 인해 쉽지 않았다”고 되돌아봤다.

이번 전시에는 한국의 근대사가 녹아들어있다.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근대국가로 거듭나기 위해 서양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오얏꽃무늬 유리 전등갓’ 등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150여 점의 유리 등갓은 1887년 전기 도입 후 궁중 실내외에 설치된 것이다.

‘서양식 연회와 양식기’ 코너에서는 영상 재현을 통해 조선왕실의 서양식 연회를 느껴볼 수 있다. ‘궁중을 장식한 수입 화병’ 코너에서는 만국박람회를 통해 세계 자기 문화의 주류로 떠오른 자포니즘(Japonism) 화병과 중국 페라나칸(Peranakan) 법랑 화병 등을 전시한다.

조선이 서양식 건축을 짓고 세계적으로 유행한 대형 화병을 장식한 것은 근대적 취향과 문물을 받아들이려는 노력의 하나였다. 일본 아리타·교토·나고야 지역에서 제작해 세계적으로 유행한 서양 수출용 화병들이 국내에 이처럼 다량 현존하고 있는 사실은 국내외에 처음 공개되는 것이다.
 

특별전 ‘新신왕실도자, 조선왕실에서 사용한 서양식 도자기’를 보고 있는 관람객 [사진=문화재청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