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선 확대하는 LCC…'유동성 위기 극복은 어려워'

  • 국내선 운영만으로는 2분기 대규모 적자도 불가피

코로나19로 국제선 수요가 줄며 저비용항공사(LCC)들이 국내선 확대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이미 국내선이 포화인 상태에서 출혈 경쟁이 이어지고 있어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기는 쉽지 않다는 우려가 나온다.

2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국제선 여객 수송량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97.9% 감소했지만 국내선 여객 수송량은 38.1% 감소에 그쳤다. 항공사들이 매출 극감에 국내선 영업 활동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제주항공은 지난 4월 부정기 운항을 시작한 △김포∼여수 △여수∼제주 노선을 정기편으로 전환하는 등 총 8개의 국내선 정기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또 여름 휴가철을 맞아 지난주부터 △부산∼양양 △제주∼무안 노선의 부정기 운항을 하고 있다.

진에어도 올해 들어 △김포∼부산 △김포∼대구 △대구∼제주 등의 취항에 나섰다. 이달 말 취항 예정인 △포항∼김포 △포항∼제주 노선을 포함하면 국내선만 총 13개다.

에어부산은 △부산∼김포 △울산∼김포 △울산∼제주 등 국내선 5개를 운영하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올해 △김포∼광주 △광주∼양양 △부산∼양양 등에 신규 취항하며 내륙 노선을 늘려 국내선이 총 8개가 됐다.

여행 수요가 국내선으로 몰린 탓에 제주 노선은 평균 70∼80%대의 탑승률을 기록 중이다.

다만 항공업계 최대 성수기인 여름 휴가철이 임박했음에도 예년과 같은 실적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2분기도 화물 영업이 가능한 대형항공사(FSC)의 실적은 큰 폭으로 개선됐을 것으로 보이지만 여객 중심의 LCC는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당장은 국제선 운항 중단으로 유휴 여객기가 많아지며 국내선에 적극 투입되고 있지만, 코로나19 이후 국제선이 회복될 경우에는 현재 늘려놓은 국내선이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차후 국제선 수요가 회복됐을 때도 한 번 국내선 운항을 시작한 이상 되돌리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대한항공이 최근 만성적자에 시달리던 여수 노선 중단을 검토했다가 지역에서 반대 여론이 거세자 결국 폐지 계획을 접은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포항공항 전경 모습. [사진=포항시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