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보물 납시었네’ 역대 최대 국보·보물전 196점 공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성민 기자
입력 2020-07-21 15: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신윤복 필 미인도·조선왕조실록·삼국사기·삼국유사 등 전시

20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2017~2019' 기자 설명회에서 참석자들이 국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사상 최대 규모의 국보와 보물 공개 전시가 열린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과 함께 ‘새 보물 납시었네 - 新국보보물전 2017~2019’를 21일부터 9월 27일까지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새롭게 지정된 국보와 보물 157건 중 이동이 어려운 건축 문화재와 중량이 무거운 문화재 등을 제외한 83건·196점을 공개하는 자리다.

1부 ‘역사를 지키다’는 우리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기록 유산을 소개하는 공간이다. 전시에는 국보로 승격된『삼국사기』(국보 제322-1호)와 『삼국유사』(국보 제306-3호)를 비롯해, 조선 태조부터 철종까지 472년의 역사를 기록한『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호) 등 다양한 역사기록물이 출품됐다.

조선 시대 인쇄 문화의 발전을 보여주는 『송조표전총류 권6~11』(보물 제1989호), 그림을 기록의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한 왕실 행사 기록화 『기사계첩』(국보 제325호), 사대부의 얼굴이 사실적으로 묘사된 『최석정 초상 및 함』(보물 제1936호) 등이 함께 소개뙈 우리나라 기록 문화의 다양성과 우수성을 선보인다.

2부 ‘예술을 펼치다’는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의 미의식이 담긴 예술품을 다양하게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이다. 고려 초기의 청자 제작을 보여주는 ‘청자‘순화4년’명 항아리’(국보 제326호), 고려 상형청자의 정수라고 할 수 있는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보물 제1932호) 등 한국 도자 공예의 뛰어난 기술과 절제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고려청자들이 전시됐다. 

우리 강산의 모습을 담은 조선 시대 실경산수화와 풍속화는 우리에게 과거로의 시간여행을 안내하는 친절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실경산수화의 대가 정선(鄭敾, 1676~1759)의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보물 제1951호) 등에서는 시적 정취가 가득한 우리 강산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보물 제1987호)에서는 조선 시대 사람들의 평범한 일상을 만날 수 있다. 이밖에 전체 길이가 8.5m에 달하는, 조선시대 사람들이 꿈꾸던 이상향을 그린 ‘이인문 필 강산무진도’(보물 제2029호), 학예일치의 경지를 보여주는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김정희 필 난맹첩’(보물 제1983호) 등도 볼 수 있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여인의 아름다움이 섬세하게 묘사된 ‘신윤복 필 미인도’(보물 제1973호), 천재 화가 김홍도의 원숙한 기량을 보여주는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보물 제1970호) 등 간송미술문화재단이 소장한 22건의 보물이 전시된다.

일제강점 암흑기에 사재를 털어 우리 문화유산을 지켜낸 간송 전형필(1906~1962)의 유지를 지키고 있는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문화재가 이처럼 한 번에 다량으로 대여 전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부 ‘염원을 담다’는 우리나라 국보‧보물의 절반이 넘는 불교문화재의 위상을 살펴볼 수 있다.

사리장엄구에는 개인과 왕실의 안녕을 바라는 발원자의 염원을 담았다. 가장 오래된 사리장엄구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국보 제327호)는 백제 시대 불교 신앙과 정교한 공예 기술의 극치를 보여준다.

불교 경전을 인쇄하기 위해 새긴 ‘묘법연화경 목판’(보물 제1961호), ‘선림보훈’(보물 제700-2호)·‘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3’(보물 제875-3호),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찬불가인 ‘월인천강지곡 권상’(국보 제320호) 등 불교 경전과 서적에서는 우리나라 불교 기록문화의 면면을 살펴볼 수 있다.

‘고려 천수관음보살도’(보물 제2015호), ‘남양주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제2003호) 등 불화와 불상도 함께 소개된다. 이번 전시에는 (재)대한불교조계종 산하 9개 사찰이 출품에 협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