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脫중국을 잡아라] ②"중국 넘어 베트남"...태국·인니의 멀고도 험한 '新 세계 굴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지현 기자
입력 2020-07-02 00: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산업 구조 개편·경제 성장' 두 마리 토끼...동남아, '탈 중국' 기업 유치에 눈독

  • "베트남 이상으로 지원한다" 베트남 선두 속 치열한 삼파전...세금 감면 경쟁

  • '타일랜드4.0' 태국, 첨단산업 개편 박차...'국토 개조' 인니, 대형 인프라 사업

작년 미·중 무역분쟁과 올해 코로나19 사태, 홍콩보안법 통과 등 잇따른 불안 상황에 '세계의 공장' 중국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 정치·경제 불확실성 급증에 '탈중국'을 고민하는 기업들도 급격히 늘고 있다.

특히, 동남아 국가들은 저렴한 노동력과 파격적인 기업 인센티브를 내세워 포스트 차이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에 나섰다. 산업구조 개편과 경제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기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들 국가 중 공급망 구축이 수월하고 필요 원자재를 쉽게 조달할 수 있는 베트남과 태국,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거센 삼파전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래픽=남보라 기자]

 
'첨단산업 개편' 태국 vs '인프라네시아' 인니...치열한 '포스트-차이나' 경쟁

베트남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는 태국이다. 최근 코로나19 감염세 안정화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태국은 외자 유치 경쟁에 재시동을 걸었다.

현재 태국 정부는 ICT(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12대 미래산업을 육성하는 국가발전계획인 '타일랜드 4.0'을 추진 중이며, 미·중 무역분쟁이 본격화한 작년 9월부터는 미래 산업기지 '동부경제회랑'(EEC) 개발 사업을 서두르고 있다. 태국 정부는 동남아 중심부라는 지리적인 이점과 항만 시설을 통한 원활한 물류라는 기존의 강점을 십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오는 2021년까지 EEC에 250억 달러(약 30조원)를 투자해 대규모 첨단산업 인프라를 구축해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태국은 최근 탈중국 기업들이 경쟁국인 베트남으로 몰리는 것을 보고 경계심을 한껏 부풀렸다. 태국 정부는 베트남으로 몰리는 기업들의 발을 돌리기 위해 각 부처에 베트남 이상의 인센티브와 감세책, 규제 완화를 주문하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는 특정 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들에 기존 20% 수준인 법인세를 15년간 10% 깎아주는 것은 물론, 4년간 세금 전액을 면제한 후 9년간 세금 50%를 인하해주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태국 정부는 중국에서 태국 EEC로 공장을 이전하는 기업에 최대 13년 동안 법인세를 면제하고 최대 5년간 50% 세금 인하 혜택을 제공 중이다. 또 오는 2021년까지 투자할 경우 기업당 최소 10억 바트(약 382억원)씩 인센티브도 준다.

태국 투자청은 중국을 떠나는 100개 기업을 태국에 유치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특히 의료기기 분야에 대한 해외 투자 유치에 공을 들인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26일 제36차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화상 정상회의에 참석한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사진=EPA·연합뉴스]


'포스트 차이나' 경쟁에서 베트남을 롤모델로 삼고 있는 인도네시아는 뒤처진 상황에 조바심이 난 상태다. 

지난 5월부터 8주간의 준봉쇄 조치로 경제 충격에 위기감을 느낀 인도네시아 정부는 여전히 하루 1200명대의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에서도 봉쇄를 완화하고 대통령이 직접 나서 경제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달 30일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중부 자바 바탕의 산업용지를 시찰한 자리에서 한국의 LG 등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면서 "아무것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투자조정청장과 주지사, 군수가 몽땅 지원할 것"이라면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앞서 작년 9월에도 조코위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최근 중국에서 나온 33개 기업 중 23개가 베트남으로 이전했고 나머지 10개는 말레이시아와 캄보디아, 태국으로 이전했는데, 인도네시아를 선택한 기업은 한 곳도 없다"면서 관료들이 해외투자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주문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오는 2024년까지 223개의 사업을 진행하는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올해에만 1422조 루피아(약 120조8700억원)를 투자해 항구와 특별산업지구를 각 5개씩 조성하고 공항, 고속도로(15개), 댐(13개), 에너지시설(12개) 건설 등 총 89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다만, 인도네시아는 제도적 부분에서 글로벌 기업 유치를 위한 준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각종 규제가 기업 이전의 발목을 잡는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 2014년 대만의 반도체 제조업체 폭스콘은 인도네시아에 공장을 건설하려 했지만, 토지 소유권 분쟁이 발생해 결국 계획을 철회했다.

이에 조코위 대통령은 약 80개에 달하는 규제를 완화해 기업 환경을 개선하고 노동자 퇴직금 제도를 개정하는 등 기업의 비용 부담을 줄이는 '옴니버스 법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진행 상황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하지만 3억에 달하는 인구로 아세안 최대 규모 시장이면서 국내총생산(GDP)의 60%가 가계 소비일 만큼 풍부한 내수시장은 강점이다. 아울러 차량공유업체 고젝, 전자상거래업체 토코페디아, 여행플랫폼 트래블로카 등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의 유니콘 혁신기업이 다수 포진해있는 만큼 미래 산업 잠재력도 크다는 것이 장점이다.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사진=A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