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열병 ASF 공포] ASF 종식, 아직 예단 못 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원승일 기자
입력 2020-04-16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멧돼지 ASF 확진 증가세 주춤, 여전히 감염 매체 발견

  • “이동성 큰 야생동물 관리 어려워”

최근 들어 야생 멧돼지를 통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 확진 증가세가 주춤해졌지만 ‘ASF 종식’을 거론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나온다.

강원 화천과 경기 연천에서는 ASF 감염 멧돼지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데다 강원 양구 등 감염 개체가 처음 발견된 지역도 나오고 있다. 방역 당국이 긴장의 끈을 놓치 않고 있는 이유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경기도 파주와 강원 철원 등은 이달 들어 야생 멧돼지 ASF 감염 사례가 눈에 띄게 줄었다.

반면 강원 화천과 경기 연천은 감염 개체 수가 꾸준히 늘며 각각 200건 넘게 발생했다. 특히 강원 고성에서는 지난 3일 ASF 감염 야생 멧돼지가 처음 발견된 이후 14일에도 추가 확진 사례가 나왔다.

방역 당국은 멧돼지처럼 이동성이 큰 야생동물의 경우 관리가 어려워 광역 울타리 설치 등 방역에 더 신경 써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ASF 방역을 위해서는 인근 지역 멧돼지 개체 수를 줄여나가면서 ASF 발생 지점을 좁은 지역 내로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야생동물을 상대로 하는 관리여서 쉽지 않다"고 밝혔다.

또 멧돼지 ASF 관리·방역을 강화하고 있지만 ASF가 남하할 가능성, 사육 돼지로의 전파 가능성도 여전해 ASF의 종식을 예단하기는 어렵다는게 방역 당국의 설명이다.

환경과학원은 "(ASF를 성공적으로 방역한) 체코에서도 ASF 종식까지 1년 정도 걸렸고, 벨기에에서는 2018년 첫 확진 이후 올해에도 ASF 감염 사례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ASF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수색 인원을 기존 180여명에서 민관군 합동 700여명으로 늘려 대대적인 폐사체 수색에 나서고 있다. 다음 달 중순 멧돼지 개체 수 저감을 위한 포획 강화 방안, 농가 방역 조치 등을 담은 봄철 ASF 대책도 발표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멧돼지 포획은 기존대로 강화하되 포획 틀, 포획 트랩 확대 등 포획 전략을 변경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강원 고성 민통선 내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양성개체 포획현장을 찾은 조명래 환경부 장관.[사진=환경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