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자동차가 지난해 승용 LPG(액화석유가스) 시장에서 독보적인 성적을 내며, 관련 업계의 선도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7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르노삼성차가 지난해 승용 LPG 내수 시장서 36.6% 점유율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했다.
르노삼성차는 지난해 국내 유일의 LPG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더 뉴 QM6 LPe’ 등을 총 3만1810대 판매했다. 지난해 승용 LPG 총 판매량은 8만6859대다.
발 빠른 시장 대응과 차별화된 LPG 자동차의 경쟁력이 르노삼성차의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르노삼성차는 지난해 3월 주력 세단 ‘SM6’와 ‘SM7’의 LPG 모델 일반판매 가격을 공개하고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했다. 이어서 같은 해 6월 QM6 부분변경 모델 더 뉴 QM6 LPe을 출시하며, 세단에서부터 SUV에 이르기까지 승용 LPG 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포석을 완성했다.
지난해 3월 LPG 연료 사용제한을 전면 폐지하는 내용의 ‘액화석유가스 안전관리 및 사업법 개정안’이 시행됐다. LPG 자동차 사용 규제가 37년 만에 폐지되자마자 르노삼성차가 선제적인 공세에 나선 것이다.
또 다른 성공요인으로는 ‘도넛 탱크’를 비롯한 르노삼성차의 남다른 기술력이 꼽힌다. 도넛 탱크는 트렁크 바닥 스페어타이어 자리에 LPG 탱크를 배치함으로써 일반적인 가솔린 차량의 85% 수준까지 트렁크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 기술이다. 기존 LPG 차량의 단점인 트렁크 공간 부족 문제를 말끔히 해결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자동차 본질의 성능에도 충실하다는 점도 인기 비결의 하나다. 특히 더 뉴 QM6 LPe는 3세대 LPI 방식 엔진 채택으로 가솔린 모델 못지않은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제공한다. 안전성도 뛰어나 신차안전성평가(KNCAP) 충돌안전성 1등급을 획득하기도 했다.
올해도 LPG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르노삼성차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LPG 자동차의 인기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 KAMA에 따르면 규제 폐지 전후 LPG차 판매대수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19년 4~11월 월 평균 LPG차 판매대수는 1만1683대로 규제 폐지 전인 1분기 월평균 판매 대수인 8229대 대비 42%나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LPG차 판매점유율도 2019년 1분기 6.8%에서 2분기 8.5%, 3분기 9.2%, 11월 9.3%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김태준 르노삼성차 영업본부장은 “현재 전세계 70개국에서 2714만대의 LPG 자동차가 도로 위를 달리고 있다”며 “승용 LPG 시장의 주도자로서 LPG 자동차가 다양한 경로로 보급될 수 있도록 소비자 필요를 수용한 제품 제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17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르노삼성차가 지난해 승용 LPG 내수 시장서 36.6% 점유율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했다.
르노삼성차는 지난해 국내 유일의 LPG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더 뉴 QM6 LPe’ 등을 총 3만1810대 판매했다. 지난해 승용 LPG 총 판매량은 8만6859대다.
발 빠른 시장 대응과 차별화된 LPG 자동차의 경쟁력이 르노삼성차의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3월 LPG 연료 사용제한을 전면 폐지하는 내용의 ‘액화석유가스 안전관리 및 사업법 개정안’이 시행됐다. LPG 자동차 사용 규제가 37년 만에 폐지되자마자 르노삼성차가 선제적인 공세에 나선 것이다.
또 다른 성공요인으로는 ‘도넛 탱크’를 비롯한 르노삼성차의 남다른 기술력이 꼽힌다. 도넛 탱크는 트렁크 바닥 스페어타이어 자리에 LPG 탱크를 배치함으로써 일반적인 가솔린 차량의 85% 수준까지 트렁크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 기술이다. 기존 LPG 차량의 단점인 트렁크 공간 부족 문제를 말끔히 해결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자동차 본질의 성능에도 충실하다는 점도 인기 비결의 하나다. 특히 더 뉴 QM6 LPe는 3세대 LPI 방식 엔진 채택으로 가솔린 모델 못지않은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제공한다. 안전성도 뛰어나 신차안전성평가(KNCAP) 충돌안전성 1등급을 획득하기도 했다.
올해도 LPG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르노삼성차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LPG 자동차의 인기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 KAMA에 따르면 규제 폐지 전후 LPG차 판매대수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19년 4~11월 월 평균 LPG차 판매대수는 1만1683대로 규제 폐지 전인 1분기 월평균 판매 대수인 8229대 대비 42%나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LPG차 판매점유율도 2019년 1분기 6.8%에서 2분기 8.5%, 3분기 9.2%, 11월 9.3%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김태준 르노삼성차 영업본부장은 “현재 전세계 70개국에서 2714만대의 LPG 자동차가 도로 위를 달리고 있다”며 “승용 LPG 시장의 주도자로서 LPG 자동차가 다양한 경로로 보급될 수 있도록 소비자 필요를 수용한 제품 제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르노삼성차의 LPG(액화석유가스)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더 뉴 QM6 LPe’. [사진=르노삼성자동차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