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장친 공유경제] 토종기업 주춤한 사이…국내 파고든 글로벌 공룡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현상철·오수연 기자
입력 2019-10-07 0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기존 산업과의 갈등과 까다로운 규제 등으로 국내 공유경제 스타트업의 질주가 주춤한 사이, 글로벌 기업들이 빈틈을 파고들며 한국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국내 공유경제 시장 규모는 최근 3년 사이 10배 가까이 급성장한 신산업이다.

6일 글로벌 컨설팅 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에 따르면, 세계 공유경제 시장 규모는 2013년 150억 달러(약 18조원)에서 2025년 3350억 달러(약 401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용자가 공유자전거를 대여하고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공유경제 시장성을 인식한 해외 공유경제 플랫폼 기업은 혁신적인 서비스를 선도해 글로벌 거대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하면서 창업 10여년 만에 ‘데카콘 기업’(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 비상장사)이 됐다.

시장조사업체 CB인사이트에 따르면, 세계 상위 10개 유니콘기업 중 공유경제 기업은 5개다. 올해 5월 기준 이들의 기업가치는 △우버(720억 달러, 약 86조2000억원) △디디추싱(560억 달러, 약 67조원) △위워크(470억 달러, 약 56조3000억원) △에어비앤비(290억 달러, 34조7000억원) △그랩택시(140억 달러, 약 16조8000억원) 등으로 추산된다. 최근에는 BMW, 벤츠, 지리그룹 등 완성차 업체까지 차량 공유시장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국내 공유경제 스타트업은 제대로 된 사업을 시작하기도 전에 규제에 발목이 잡힌 사례가 적잖다. 농어촌 빈집을 활용한 공유숙박 스타트업 ‘다자요’는 26년 된 ‘실거주자 요건’ 규정에 사업이 막혔다.

‘차차’는 운전사가 빌린 렌터카를 몰고 다니며 호출한 손님을 태우는 차량공유 서비스를 선보였으나 정부는 이를 ‘위법 행위’로 판단해 서비스를 중단해야만 했다. 기존 산업과 마찰이 생겨 해당 분야의 동력이 상실된 경우도 있다.

국내 승차공유 서비스는 택시-카풀 사회적 대타협기구 합의 이후 스타트업의 진출이 뜸해졌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공유경제 규제혁신에 대한 국민조사’에 따르면, 일반 국민은 공유경제 갈등 원인으로 ‘기존업계의 지나친 반대’(38%)를 꼽았다.

국내 공유경제 스타트업의 빈자리는 글로벌 공룡기업이 차지해 나가는 모양새다. 공유 전동킥보드 글로벌 1위 기업인 ‘라임’은 이달 4일부터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를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라임이 진출하는 첫 아시아 국가다.

디디추싱은 이르면 내년 상반기 한국 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어비앤비는 최근 정부가 내국인 숙박을 연 180일로 제한하는 공유민박법 도입 의사를 밝히자 ‘공유경제 정책이 일관성이 없다’고 이례적으로 공개 비판한 바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개인 간 디지털‧공유경제 규모는 1978억원으로 2015년(204억원)과 비교해 열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 중 90%는 숙박공유 서비스가 차지하고 있다.

홍기용 인천대 교수는 “글로벌 공유경제 기업들은 한국 시장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공유경제 기반이 무너지고 있는 것 같다”며 “공유경제가 세계적인 추세인 만큼 규제를 과감히 풀어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국내를 넘어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