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성큼 다가온 5G 시대, 고개드는 전자파 위험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지윤 기자
입력 2019-08-16 05: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한국이 세계 최초로 5세대 이동통신(5G) 상용화 시대를 열었지만, 유해성 논란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최근 만난 한 스마트폰 부품 회사 CEO는 이런 고민을 내놨다. 5G는 기존 이동통신보다 훨씬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는데, 새로운 파장에 대한 연구가 지금까지 거의 없었던 만큼 안전성을 입증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5G는 기존 전파 대역(0.8~2.6㎓)보다 훨씬 높은 3.5㎓와 28㎓ 대역의 전파를 사용한다. 5G는 단거리에서만 유효하고, 고체에서는 잘 통하지 않아 최소 10~12채의 건물마다 촘촘하게 안테나를 설치해야 한다. 이 때문에 전자파 노출 빈도가 높아진다는 주장이 나온다.

특히 '빔포밍(Beamforming)' 기술에 대한 우려가 크다. 5G는 사용자를 찾기 위해 특정 지점·공간으로 전자파를 집중시키는 빔포밍 기술을 쓰는데, 이때 전파의 양이 급증하면서 인체가 다량의 전자파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2017년 9월에는 35개국 180여명의 과학자·의사들이 유럽연합(EU)에 청원서를 내는 사건도 있었다. 이들은 5G의 잠재적 위험성을 완전히 검증할 때까지 상용화를 중단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반대로, 정부와 통신업계 등은 주파수 높낮이 자체가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은 "5G 전자파 유해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험을 한 결과 4G LTE 때와 다른 유해성은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힌 바 있다.

또 국립전파연구원은 이 같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28㎓ 대역 전자파를 고려한 안전기준을 새로 마련해 지난 3월 고시했다. 28㎓ 대역의 전자파는 3.5㎓ 대역처럼 몸에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피부 표면에서 흡수된다. 때문에 기존 측정법인 전자파흡수율(SAR)로 측정이 어렵고, 새로운 물리량인 '전력밀도'로 평가해야 한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 같은 대처가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한다. 한 업계 전문가는 "근거리장 영역에서 전력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상용화 장비가 부족하고, 국제표준 등이 마련돼 있지 않은 점도 우려를 키운다"고 말했다.

유해성 논란이 분분한 만큼 소비자와 업계 모두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국립전파연구원은 통화 시 직접 통화보다는 이어폰을 사용하고, 휴대폰 수신 강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전자파 세기가 커지므로 장시간 사용을 피하라고 권고한다. 또 좌우 얼굴을 교대로 접촉해 휴대폰을 써야 인체 흡수율을 줄일 수 있다고도 지적한다. 업계는 효율적 측정 방법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지속하면서도 전자파 차폐 소재 개발 등에도 더욱 힘써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