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다중채무자 부도→금융사 부실' 추정 모형 개발

  • 아시아개발은행 워크숍에서 방법론 소개하고 특징 설명

[사진=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이 다중채무자의 부도가 어떻게 여러 금융사의 부실로 전이되는지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했다.

금감원은 지난 14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아시아개발은행(ADB) 워크숍'에서 '거시건전성 스트레스 테스트 모형'의 일환으로 개발한 '다중채무자의 부도 전염효과 추정 방법론'을 소개하고 주요 특징을 설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날 워크숍에는 ADB 회원국인 아시아 개도국 금융감독당국과 중앙은행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다중채무자 부도 전염효과 추정 방법론은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금융감독 혁신과제 중 금융시장 불안요인 선제적 대응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다중채무자는 여러 금융권역에서 동시에 대출을 받은 채무자를 의미한다. 지난해 6월 말 기준으로 국내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1110만명 가운데 비은행 금융회사에서 다른 대출을 받은 채무자는 380만명에 달했다. 은행에서 돈을 빌린 전체 채무자 세 명 중 한 명은 비은행권에서도 대출을 받은 셈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다중채무자의 비은행권 대출이 부실해지면 시차를 두고 은행권 대출까지 부실이 이어지게 된다"며 "이렇게 비은행권에서 은행권으로 도미노처럼 대출 부실이 이어지는 현상을 미리 예측해서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동시에 금감원 측은 금융감독 강화를 위한 연구에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